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4.20 22:21 수정 : 2010.04.20 22:21

경남 지역의 한 전직 건설사 대표가 “지난 20여년간 100여명의 검사들에게 수시로 촌지와 향응을 제공하고 일부는 성접대까지 했다”고 주장하고 나서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정아무개씨가 부산지검에 지난 2월 제출한 진정서에는 현직 검사장급을 비롯해 법무부와 대검의 고위 간부들도 포함돼 있다고 한다. 이름이 거론된 검사들은 한결같이 “허황된 사실” “전혀 모르는 사람”이라며 부인한다. 검찰은 그가 변호사법 위반과 사기 등의 혐의로 구속된 전력을 들어 ‘검찰에 앙심을 품고 허위사실이 담긴 진정서를 낸 것’이라고 주장했다.

정씨 주장의 진위는 아직 단정하기 어렵다. 하지만 단순히 꾸며낸 이야기라고만 보기에는 내용이 너무 생생하고 구체적이다. 심지어 ‘촌지’에 거부반응을 보인 사람들은 누구이며, 술접대는 받아도 성접대만은 끝까지 거절한 검사의 이름까지 나온다. “제보자가 믿을 수 없는 사람”이라는 이유를 들어 아직 진정인 조사도 하지 않았다는 검찰의 태도가 오히려 설득력이 없다.

검찰이 이번 사건을 외면하고 넘어갈 수 없는 이유는 한명숙 전 국무총리 뇌물의혹 사건 등에서 보인 집요한 태도를 떠올리면 더욱 확실해진다. 별다른 증거도 없이 곽영욱씨의 진술 하나만 갖고 전직 국무총리를 기소한 게 검찰이다. 그것도 모자라 골프채 선물이며 골프빌리지 무상숙박 문제 등까지도 시시콜콜히 파헤쳤다. 한 전 총리 사건에 비춰보면 이번 사건은 조사해야 할 이유가 넘쳐난다. 정씨는 검사들을 접대하면서 사용한 수표의 일련번호까지 기록해 놓은 자료를 갖고 있으며 조사가 시작되면 모두 제출할 용의가 있다고 한다. 검사들과의 대질신문도 원한다고 하니 검찰이 마음먹기 따라서는 얼마든지 진상을 속시원히 밝혀낼 수 있다.

검찰에 대한 이른바 ‘스폰’의 문제는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멀리 갈 것도 없이 지난해 낙마한 천성관 검찰총장 후보자의 경우에서도 실상이 적나라하게 드러난 바 있다. 김용철 변호사가 폭로한 ‘삼성 떡값 리스트’에 나온 검사들의 이름도 아직 생생하다. 그런데도 검찰은 자신들의 비리 의혹에 대해서는 갖가지 이유를 대며 모르쇠로 일관했다. 그러면서도 권력의 입맛에 맞는 수사에는 눈에 불을 켜고 달려드니 검찰이 손가락질을 받는 것이다. 기로에 선 검찰의 선택을 주시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