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4.21 20:11 수정 : 2010.04.21 20:11

6·2 지방선거를 앞두고 추진돼온 야권연대 협상이 결국 결렬됐다. 연대의 핵심으로 꼽혀온 경기도지사 후보 단일화 방식을 두고 민주당과 국민참여당이 끝내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게 결정적 이유다. 호남 지역 기초단체장 협상도 덩달아 진전을 보지 못한 채 협상 시한을 넘겨버렸다.

민주당을 비롯한 야당과 시민사회단체들은 애초 야권연대를 통해 한나라당과 1 대 1 구도를 만들어 이명박 정부에 대한 심판에 나서겠다고 기염을 토했다. 실제 각종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범야권 단일후보가 나올 경우 수도권 등에서 큰 파괴력을 지닌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이제 야당은 스스로 그런 기회를 박차버렸다. 게다가 협상 결렬에 대한 지지층의 실망감, 이에 따른 선거 외면 가능성까지 고려하면 야권이 입을 타격은 더 클 것이다. 아예 처음부터 야권연대를 시도하지 않은 것만도 못하게 됐다.

협상이 깨진 것은 결국 야당들이 각자의 작은 이해관계에 집착했기 때문이다. 겉으로는 공동 승리를 말하면서도 실제로는 자신들의 이해득실을 따지는 주판알 굴리기에 바빴던 것이다. 막판에 협상이 결렬된 경기지사 후보 단일화 문제만 해도, 경선 방식을 둘러싼 양쪽의 견해차는 어떻게 보면 사소한 것일 수도 있었다. 연대의 대의에 충실해 서로가 조금씩 양보하고 상대방을 배려했더라면 그 정도의 차이는 무난하게 극복할 수 있었다. 협상 실패의 책임을 함께 져야 할 두 당이 자숙하기는커녕 상대편 탓만 하며 손가락질하는 모습도 정말 보기 역겹다.

이명박 정권의 국정운영에 실망한 유권자들이 야권연대에 거는 기대는 각별했다. 현 정권의 독주와 횡포를 견제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로 여겼기 때문일 것이다. 진보개혁 진영의 한 원로는 “야권연대는 선거 승리를 위한 전략 차원을 넘어 국민들에게 정치적 선택의 기회를 제공하는 행위”라는 의미까지 부여했다. 야당은 이번 야권연대 실패가 지닌 역사적 책임의 무거움을 통감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럼에도 최선이 아니면 차선이라도 추구하는 게 현실 정치다. 비록 전국 차원의 선거연대는 물건너갔지만 지역별 후보 단일화 여지는 아직 남아 있다. 야당들이 야권연대 협상 실패를 거울 삼아 더는 지지층을 실망시키지 않겠다는 각오로 나서면 최악의 상황은 모면할 수도 있다. 야권 전체의 깊은 성찰과 반성을 기대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