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구제역 방역, 지금부터가 중요하다 |
지난 주말 의심 증상이 신고됐던 충북 충주 한우농가 두 곳의 소가 구제역이 아닌 것으로 판명됐다. 강화에서 김포, 다시 내륙의 충주로 번지면서 전국적으로 확산하는 것 아니냐고 걱정했는데 그나마 한시름을 던 셈이다. 하지만 안심하기는 이르다. 구제역은 워낙 빨리 전파되는데다 한번 방역망이 뚫리면 다시 근절시키기가 좀체 어려운 질병이다. 이번 구제역은 특히 전파 경로가 확인되지 않아 더욱 답답하다. 바이러스가 최대 두 달까지 생존할 수도 있다니 경계의 끈을 늦추지 말아야 한다. 이미 방역당국은 올해 초 발생한 포천 구제역의 종식을 선언한 지 불과 보름여 만에 강화 구제역 발생으로 허를 찔린 바 있다.
구제역의 전국 확산은 자칫 축산업의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 구제역이 발생하면 축산물 교역이 중단된다. 감염가축에 대한 살처분이 끝난 지 3개월간 추가 발병이 없어야 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회복할 수 있지만, 그러고서도 한참이 지나야 수출이 재개되는 게 현실이다. 실제 미국 수출길이 열린 것은 2002년 청정국 지위를 인정받은 지 7년이 지나서였다. 조금씩 늘어나던 축산물 수출은 올해 구제역 발병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 서둘러 청정국 지위를 회복하지 못하면 그 피해는 커지게 된다. 그리되면 구제역 상시 발생국의 축산물 유입도 막기 힘들어져 축산업 기반이 전면 붕괴할 수 있다. 피해를 입은 축산농가가 실의를 딛고 재기하도록 지원하는 일 못지않게, 방역에 더욱 만전을 기울여야 할 까닭이 여기 있다.
구제역의 확산을 막고 재발을 방지하려면 방역시스템을 재정비해야 한다. 먼저 항만·공항에서부터 축산농가에 이르기까지 차단 방역체제 강화가 시급하다. 이번 구제역 발병 뒤 공항 검역이 강화됐다지만, 평상시에는 구제역 상시 발생 국가에서 입국하는 이들에 대한 검역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 축산농가의 해외 위험지역 방문 자제, 방문 뒤 격리기간 준수, 위험지역 방문자에 대한 상시적인 철저 검역은 기본이 되어야 한다. 농가 단위의 방역 교육과 일제 소독 설비, 부실 방역 농가에 대한 규제 등도 필요하다. 이런 상시적 감시체계와 함께 가축 전염병의 조기 진단을 맡을 연구인력의 확충과 지방자치단체들 사이의 초동 방역망 강화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언제까지나 일이 터지면 땜질식 처방과 수습으로 피해와 희생을 키울 수는 없지 않은가.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