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4.25 19:01 수정 : 2010.04.25 19:01

천안함 함수가 그제 인양됐지만, 실종자 6명의 주검은 끝내 수습하지 못했다. 정부는 실종자 수색작업을 중단하고 이들을 산화자로 처리한 뒤 어제부터 공식 장례절차에 들어가기로 했다. 불의의 사건으로 목숨을 잃은 46명의 병사들에게 영원한 안식이 있기를 기원하며, 유가족들에게 심심한 애도와 위로의 뜻을 전한다.

이제 우리에게 남은 일은 천안함 장병들의 희생을 헛되지 않게 하는 일이다. 그 첫걸음은 사건 원인에 대한 정확한 진상 규명이다. 사건 발생 초기 국방부와 군의 부정확한 설명 탓에 생긴 온갖 억측은 아직 사라지지 않고 있다. 이제 함수와 함미가 모두 인양됐으니 과학적이고 엄밀한 조사를 통해 이런 억측을 불식해내야만 한다. 그렇게 하지 못하면 지방선거 국면과 맞물려 이번 사건이 그렇지 않아도 심각한 우리 사회의 내적 갈등을 증폭시킬 위험이 있다.

일단 민군 합동조사단은 어제 절단면 등을 살펴본 뒤 “수중 비접촉 폭발 가능성이 크다”고 밝히면서 어뢰와 기뢰의 가능성을 모두 열어뒀다. 앞으로도 신중을 다해 국민 모두가 신뢰할 수 있는 조사결과를 내놓기를 기대한다.

합조단 조사를 통해 이번 사건의 직접 원인이 증명되고, 관심을 모으는 북한의 연루 여부까지 확인될지는 아직 알 수 없다. 하지만 그에 관계없이 이번 사건을 분단 현실과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는 것도 사실이다. 분단이 없다면 천안함의 초계활동도, 젊은이들의 죽음도 없었을 것이다. 장병들의 희생을 헛되지 않게 하려면 그런 희생을 부추길 긴장과 대결보다는 갈등의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일 역시 중요하다.

그런 점에서 이번 사태를 남북 갈등을 고조하는 쪽으로 끌고 가려는 남과 북의 모든 움직임은 경계해야 한다. 힐러리 클린턴 미국 국무장관이 지적했듯이 한반도에서 전쟁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거나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는 대응을 유발하는 행동이나 오판은 어느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북의 연루 사실이 확인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북한에 그 원인을 돌리며 섣부르게 대응할 것을 주장하는 남쪽 보수세력이나, 금강산 남쪽 재산을 몰수하고 호전적인 언설을 마다하지 않는 북쪽의 태도는 모두 온당하지 않다. 지금 필요한 것은 이번 사건이 분단체제에 기생해 이득을 보려는 남과 북의 세력들에게 이용되지 않도록 남북관계를 제 궤도에 올려놓는 일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