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4.29 19:33 수정 : 2010.04.29 19:33

기어이 갈아엎을 모양이다. 그것도 신선한 채소 등을 재배하는 유기농단지를 깔아뭉개 자전거도로와 공원으로 만들겠다니 기가 막힌다. 수도권 주민들에게 무공해 채소를 공급하는 팔당 유기농단지를 두고 하는 말이다. 국토해양부는 경기도 팔당지역 유기농단지를 놀이터로 만들기 위해 토지 강제수용 절차를 강행하고 있다고 한다. 이명박 정부의 끝간데없는 무모함에 아연할 뿐이다.

우선 멀쩡하게 농사짓고 있는 땅을 갈아엎고 그곳에 위락시설을 만들겠다는 발상부터가 놀랍다. 자연을 온전히 놔두지 못하고 어떻게든 갈아엎고 파헤쳐 인공구조물로 변형시키겠다는 천박한 행태다. 더욱이 팔당 유기농단지는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에 친환경 채소를 공급하는 요지다. 이곳 농민들은 이 지역을 유기농단지로 만들려고 수십년 동안 무농약 농사를 지으며 땅심을 길러왔다. 이런 곳을 뭉개버리고 놀이터로 만들겠다는 발상이 어떻게 가능한지 모르겠다.

정부가 강제로 수용하겠다는 지역은 내년 9월 세계 유기농대회가 열릴 곳이다. 그만큼 유기농단지로서는 상징적인 곳이다. 이명박 대통령도 후보 시절인 2007년 9월 이곳에 들러 유기농이 우리 농업의 대안이라며 이 지역 농민들을 격려했다. 거름을 실은 경운기를 직접 몰며 농민들과의 친근감을 과시하기도 했다. 그런데 이제는 막무가내로 밀어붙이려 한다. 지금까지 해온 대로 “선거 때는 무슨 말을 못하냐”는 식으로 넘어갈 모양이다.

팔당 유기농단지에 공원을 만들겠다는 것은 4대강 사업과도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유기농단지를 끼고 흐르는 한강의 바닥을 파헤칠 것도 아니고 댐을 새로 만드는 것도 아니다. 국토부는 4대강 하천부지 내 경작을 원천적으로 금지하겠다는 방침 아래 이곳도 강제수용하겠다고 하는 모양이다. 하지만 하천부지를 모조리 콘크리트로 말끔하게 포장해 눈요깃거리나 놀이터로 만드는 게 능사는 아니다. 퇴비가 강물을 오염시킬 우려가 있다고 둘러대는데, 그건 핑계일 뿐 이보다 훨씬 더 큰 오염원을 끌어들이는 빌미가 되지 못한다.

실용적으로만 따져봐도 이곳을 수도권 주민들에 대한 친환경 채소 공급지와 생태체험학습장으로 활용하는 게 훨씬 이익이다. 자전거도로나 공원 만들 곳은 여기 아니라도 많다. 정부는 팔당 유기농단지를 강제수용해 공원으로 만들겠다는 방침을 당장 거둬들이기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