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5.06 21:02 수정 : 2010.05.06 21:02

오세훈 서울시장이 6·2 지방선거 한나라당 서울시장 후보로 선출된 데 이어 민주당도 어제 한명숙 전 국무총리를 서울시장 후보로 확정했다. 유력한 후보들이 결정됨으로써 서울시장 선거전이 이제 본격적인 궤도에 올랐다.

서울시장 선거를 흔히 지방선거의 꽃이라고 한다. 그만큼 정치적 상징성이나 의미가 크다. 각 정당이 서울시장 선거 결과를 지방선거 승패의 잣대로 여기며 사활을 거는 것도 무리는 아니다. 하지만 정치적 의미가 크다고 선거 과정까지 정치 위주로 흘러서는 곤란하다. 그럴수록 냉정하고 합리적인 정책선거가 이뤄져야 한다. 정책은 뒷전으로 밀어버린 ‘묻지마 투표’, 일방적 몰아주기 투표의 결과가 어떤 것인지는 지금의 지방정치 현실이 잘 말해준다.

서울시를 어떤 도시로 만들어갈 것인가에 대한 철학과 비전 제시는 정책선거의 핵심 중의 핵심이다. 교통·환경·주거·문화 등 시정 전반에 대한 구체적인 청사진을 놓고 후보들이 제대로 겨루길 기대한다. 재선을 노리는 오세훈 시장으로서는 이 과정에서 ‘서울 시정 심판론’을 피해가기 어려울 것이다. 오 시장이 추진해온 ‘디자인 수도’를 비롯해 광화문광장 조성 등 각종 정책에 대한 꼼꼼한 평가는 정책선거의 중요한 요소다. 그러나 야당 역시 무작정 심판론만 내세워서는 유권자들의 표를 기대하기 어렵다. 비판 못지않게 책임있고 현실성있는 정책적 대안을 내놓기 바란다.

서울 시정 문제가 ‘협의의 정책’이라면 세종시·4대강 등은 ‘광의의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번 지방선거의 특징 중 하나는 이명박 정부가 추진하는 주요 정책들이 지방 유권자들의 삶과 밀접히 연관돼 있다는 점이다. 세종시 문제만 해도 서울시민들이 중요한 이해당사자이며, 4대강 사업 역시 한강을 끼고 있는 서울로서는 결코 남의 일이 아니다. 이런 이슈들에 대한 후보들의 분명한 입장 제시와 치열한 토론이 있어야 한다.

이번 기회에 그동안 첨예하게 대립해온 서울광장 개방 문제 등도 분명히 짚을 필요가 있다. 이 사안은 단순한 정책이나 행정의 차원을 떠난다. 이는 시민의 보편적 권리, 치안유지의 개념과 한계, 집회시위 문화에 대한 철학과 신념의 문제까지 녹아 있는 사안이다. 이번 서울시장 선거가 그 결과뿐 아니라 과정에서도 ‘지방선거의 꽃’이 되길 기대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