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5.16 19:55 수정 : 2010.05.16 19:55

두달 이상 계속된 타이의 시위가 정부의 적극적인 봉쇄작전으로 유혈사태를 빚고 있다. 지난 13일 봉쇄작전이 시작된 이래 어제까지 최소한 25명이 숨지고 수백명이 다쳤다. 시위가 처음 시작된 3월14일 이래 전체 사망자는 54명에 이르고 부상자는 1500명에 육박한다고 한다.

이렇게 인명피해가 늘어나고 있는데도 아피싯 웨차치와 총리는 어제 군부의 개입만이 시위를 종식시킬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며 봉쇄작전 지속을 천명했다. 자칫하다간 더 큰 유혈사태가 빚어질 수도 있는 상황이다. 더이상의 유혈을 막기 위해 모든 당사자들은 자제해야 하며, 그 가운데서도 무력을 가진 정부는 특히 자제해야 한다.

타이 시위사태에는 여러 이유가 복합돼 있다. 우선 현 정권의 정통성 문제다. 현 정권은 2006년 탁신 친나왓 전 총리가 군부쿠데타로 물러난 이후 합법적인 선거를 거치지 않은 채 군부와 기득계층의 타협의 산물로 2008년 출범했다. 탁신 전 총리의 지지층이 중심이 된 이른바 ‘붉은 셔츠’ 시위대가 현 정권을 불법정권으로 규정하고 총리 사임과 새 선거를 요구하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다음으로는 타이 사회의 심각한 분절이다. 타이 정부나 언론은 이번 시위를 탁신 전 총리와 연결된 움직임으로만 설명하지만,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그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고 본다. 서로 다른 문화와 방언을 갖고 있는 북동부지역과 방콕을 위시한 중부지역 사이의 대립, 탁신으로 대표되는 신흥 부유층과 기존 부유층 사이의 갈등, 그리고 세계화의 수혜에서 배제된 농민과 도시 중하층과 기득계층의 갈등의 결과물이라는 것이다. 이런 뿌리깊은 사회적 갈등은 무력으로 진압한다고 해소될 수 있는 일이 아니다. 탁신이 물러난 이래 군부의 위협에도 불구하고 시위가 되풀이되면서 정정불안이 계속되고 있는 것이 그 방증이다.

따라서 기득계층이 어느 정도 정치적 양보를 감수하는 등 소외계층을 보듬지 않고는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정부는 새로운 총선을 약속하고 모든 관련 당사자로부터 그 결과에 승복하겠다는 합의를 끌어내야 한다. 그러지 않고 현재와 같은 대립상태가 지속될 경우 또다른 군사쿠데타의 빌미가 될 수 있다.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의 중심 국가인 타이가 21세기에 들어서도 군사쿠데타의 악순환을 끊지 못한다면 부끄러운 일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