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5.27 19:31 수정 : 2010.05.27 19:31

6·2 지방선거 투표일이 닷새 앞으로 다가왔다. 선거는 사실상 종반전으로 접어들었다. 그러나 선거 양상은 이미 정상궤도를 멀찌감치 이탈해버렸다. 정책선거는커녕 이대로 가다가는 유례를 찾기 힘든 휩쓸림 선거로 기록될 가능성마저 있다.

‘북풍’이 모든 이슈를 삼키는 블랙홀이 될 것이라는 우려는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남북간에는 양쪽이 하루가 멀다 하고 대응 수위를 높이면서 일촉즉발의 긴장이 감돈다. 이런 상황에서 4대강, 세종시, 무상급식, 복지·교육 등의 정책 이슈들은 실종되거나 뒷전으로 물러나버렸다. 그렇다고 해서 현 정부의 대북정책이나 안보관리 능력 등에 대한 꼼꼼한 평가가 이뤄지고 있는 것도 아니다. 야당은 뒤늦게 ‘긴장조성 세력 대 평화관리 세력’ 등의 구호를 내세워 반전을 시도하고 있으나 역부족이다. 이번 지방선거는 애초 여권이 의도한 대로 ‘김정일 정권 심판론’의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이에 편승해 ‘친북좌파’ 딱지 붙이기에 골몰하는 한나라당 행태는 더욱 볼썽사납다. 아무리 선거 승리가 지상과제라고 해도 시도 때도 없이 색깔론을 들먹이는 한나라당의 공세는 도가 지나쳤다. 친북 낙인찍기는 정당공천이 없는 교육감 선거에서도 횡행한다. 경기도 교육감 후보 토론회에서 보수성향의 후보들은 김상곤 후보를 향해 “급진좌경 정치선동가” “경기도에서 친북좌파 교육감을 몰아내야 한다”는 따위로 공격하기 바쁘다. 교육정책에 대한 깊이있는 토론은 아예 관심 밖이다.

상대편 후보에 대한 원색적 인신공격도 난무한다. 인천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한나라당은 송영길 민주당 후보의 성접대 의혹을 제기해 그를 파렴치범으로 몰아가고 있다. 한나라당은 한명숙 민주당 서울시장 후보에 대해서는 아들의 군 입대 후 주특기 변경 등의 특혜 의혹을 제기했고, 민주당 역시 오세훈 한나라당 후보의 부인과 처가의 내곡동 땅 특혜 의혹으로 맞불을 놓고 있다. 이런 의혹 제기는 정당한 후보자 검증 과정이기보다는 무책임한 네거티브 공세에 그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선거판이 이 지경이 된 주된 책임은 물론 여권에 있다. 하지만 처음부터 방향감각을 상실한 채 무기력한 모습으로 일관해온 민주당의 책임도 크다. 결국 이번 지방선거를 최악의 선거로 끝내지 않게 할 힘은 깨어 있는 유권자들의 냉철한 이성밖에 없는 것 같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