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불편한 선거공보물, 그래도 정독하자 |
지방선거 투표일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북풍의 영향으로 이미 만신창이가 된 선거가 제대로 숙고할 기회도 없이 마지막 선택의 순간으로 다가서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선거판이 어지럽다고 유권자들마저 함께 휘둘릴 수는 없는 노릇이다.
지금 시점에서 유권자들이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은 선거공보물을 꼼꼼히 살피는 일이다. 사실 선거공보물의 문제점은 곳곳에서 노출됐다. 시일이 너무 촉박하게 도착한데다 분량도 방대하다. 아예 읽을 엄두를 내지 못해 곧바로 쓰레기통으로 직행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고 한다. 그러나 후보자 정보를 거의 알 수 없는 상황에서 그나마 제대로 된 선택의 길잡이 노릇을 하는 유일한 자료가 바로 선거공보물이다. 불편하더라도 시간을 내어 꼼꼼히 정독하길 권한다.
선거공보물에서 가장 관심을 갖고 살펴야 할 대목은 역시 공약이다. 후보들이 개인적으로 내세운 공약뿐 아니라 후보가 속한 정당이 어떤 정책을 약속하고 있는지도 면밀히 살펴야 한다. 이번 선거의 최대 특징은 4대강 사업, 세종시 문제 등 현 정부가 밀어붙이는 각종 정책이 지역 유권자들의 삶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사안들이라는 점이다. 북풍에 밀려나 있던 이들 쟁점을 다시 한번 들여다보고, 어떤 선택이 좁게는 내가 사는 고장, 넓게는 나라 전체에 도움이 되는지 심사숙고하길 바란다.
교육감 선거에서도 보수 후보와 여권이 합작한 반전교조의 바람몰이가 거세다. 하지만 사교육의 창궐, 교육비리의 만연, 주입식·획일적 교육풍토 등 당면한 교육현안들이 과연 누구 탓인지 따져봐야 한다. 전교조에 대한 호불호와 우리 교육의 미래를 혼동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 과거 서울시 교육감 선거에서 나타난 일부 지역 일부 계층의 몰표 현상이 어떤 결과를 낳았는지도 이미 경험한 바 있다. 이런 실패를 겪고서도 또다시 묻지마 투표, 한줄 투표 따위를 되풀이할 것인지 곰곰이 생각해볼 일이다.
지방선거는 두말할 나위 없이 그 지역의 일꾼을 뽑는 행사다. 하지만 필연적으로 집권여당에 대한 중간평가의 성격을 지닐 수밖에 없다. 이번 선거는 현 정부 출범 이후 우리 사회가 겪는 민주주의와 인권의 후퇴, 악화한 남북관계와 안보 현실 등에 대한 평가의 장이기도 하다. 또 선거 결과는 앞으로 나라와 민족의 진로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게 돼 있다. 유권자들의 진지한 고민이 어느 때보다 절실히 요구된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