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6.01 20:20 수정 : 2010.06.01 20:20

문수 스님이 4대강 사업 중단을 요구하는 유서를 남기고 분신해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스님은 유서에서 “4대강 사업을 즉각 중지, 폐기하라. 부정부패를 척결하라. 재벌과 부자가 아닌 서민과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위해 최선을 다하라”라는 말을 남겼다.

4대강 사업을 둘러싼 논란이 격화하면서 결국 고귀한 인명이 희생되는 결과까지 빚어졌다. 충격적이고 안타까운 일이다. 생명을 가장 고귀하게 여기는 스님이 자신의 목숨을 던져 4대강 사업에 대해 마지막 절규를 외쳤다면 적당히 넘길 일이 아니다. 4대강 사업을 둘러싼 사회적 갈등이 걷잡을 수 없는 수준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4대강 사업이 심각한 환경파괴와 국가재정 악화를 불러온다는 점은 이미 숱하게 지적됐다. 국민의 60~70%가 반대하고 있으며, 시민사회단체와 종교계 등의 반발도 거세다. 가장 중요한 점은 사회적 여론 수렴이나 소통을 강화하려는 정부 노력이 거의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정부는 각계각층의 비판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공사를 강행하고 있다.

이런 독선적인 국정 운영은 필연적으로 대립과 분열을 격화시킬 수밖에 없다. 찬반 양쪽에 깊은 감정의 골을 만들고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기게 된다. 국민들 사이의 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국민 통합에 나서야 할 정부가 도리어 나라를 분란의 소용돌이로 몰아가는 꼴이다. 문수 스님은 유언에서 4대강 사업에 대한 반대뿐 아니라 부정부패 척결, 서민과 가난한 사람을 위한 노력을 주문하는 등 이명박 정부에 대한 강한 비판을 쏟아냈다. 정부의 국정 운영 방식에 대한 강한 경고 메시지라고 할 수 있다.

정부는 이번 사건을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된다. 이 상태로 계속 간다면 제2, 제3의 문수 스님이 나오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다. 당장 불교계가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다. 4대강 반대 운동을 전 불교계 차원에서 대대적으로 펼쳐나갈 가능성이 높다. 정부에 묻고 싶다. 꼭 큰 사달이 벌어져야 그때 가서 대화에 나서고 대책을 마련할 건가. 4대강 문제로 이미 국론은 천 갈래 만 갈래 분열됐고, 대립과 갈등은 심해질 대로 심해졌다. 더 큰 일이 벌어지기 전에 대화와 소통에 나서야 한다. 그리고 사업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 그게 바로 나라를 화합으로 이끄는 길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