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6.04 21:21 수정 : 2010.06.04 21:21

6·2 지방선거의 두드러진 특징 가운데 하나는 이전보다 높은 20~30대 투표율이다. 연령대별 투표율이 아직 나오지 않았지만 이들이 대거 투표에 나선 것은 분명하다. 정치 무관심층으로 알려진 이들의 적극적인 투표 참가는 매우 긍정적이다. 선거에 민의가 골고루 반영되는 것은 물론 참여민주주의의 발전을 위해서도 바람직한 현상이다.

그러나 이들의 높은 투표율이 마냥 좋을 수만은 없다. 답답한 현실에 대한 불만의 표현이 주된 원인이기 때문이다. 선거 직전 실시된 한 설문조사에서 20~30대는 정치인에게 하고 싶은 말로 일자리 창출을 가장 많이 꼽았다. 그다음으로는 저소득층 지원, 경제발전, 주거환경 개선, 출산율 향상 정책 등을 꼽았다. 심각한 청년실업과 갈수록 팍팍해지는 사회경제적 현실이 이들에게 정치참여의 눈을 뜨게 한 것이다. 정부는 선거로 나타난 젊은층의 목소리에 진지하게 귀를 기울여야 한다. 무엇보다 이들의 주요 관심사인 취업·교육·복지 등의 분야에서 기존 정책을 재검토해야 한다. 그게 선거에서 나타난 민의를 겸허하게 수용하는 길이다.

고용정책만 해도 그렇다. 정부는 그동안 말로는 일자리 창출을 얘기하면서도 실제로는 거꾸로 가는 정책을 취했다. 중소기업보다는 대기업, 내수보다는 수출에만 역점을 뒀다. 이래서는 고용 증대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그뿐 아니다.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에도 거의 관심을 쏟지 않았다. 저소득층 지원과 출산·육아·주택 정책도 다를 바 없다. 현 정부는 출범 이후 줄곧 부유층을 위한 감세, 경쟁력 강화를 명분으로 한 복지혜택 축소 등을 밀어붙였다. 금융위기 이후 서민과 중산층은 실질소득마저 줄어든 상황이다. 이런 현실에서 최소한의 사회안전망까지 흔들린다면 20~30대 젊은층은 설 자리가 더욱 좁아진다.

단문 블로그인 트위터 등이 젊은층의 투표율을 높인 측면도 있지만, 그 근저에는 현실에 대한 강한 불만이 깔려 있다. 이들은 앞으로 우리 사회를 짊어질 주역들이다. 사회에 입문하면서부터 청년실업과 비정규직이라는 현실의 벽에 부닥치고 최소한의 복지혜택을 기대할 수 없다면 나라의 미래도 기약할 수 없다. 경쟁과 성장 일변도의 정책에서 탈피해 진정으로 서민과 중산층, 그리고 젊은이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정책적 전환이 절실한 때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