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6.06 18:49 수정 : 2010.06.06 18:49

<문화방송>(MBC)이 지난주말 노조위원장 등 41명에게 해고 등 중징계 조처를 내렸다. 김우룡 전 방송문화진흥회 이사장의 <신동아> 인터뷰로 확인된 문화방송에 대한 권력의 부당한 인사개입에 항의해 파업을 벌인 데 대한 보복이다. 특히 놀라운 사실은 사내 인트라넷에 김재철 사장을 비판한 글을 썼다는 이유로 오행운 피디를 해고한 것이다. 권력에 의해 지명된 김 사장이 비판언론에 재갈을 물려온 현 정권의 언론정책을 그대로 답습하고 있는 꼴이다. 부당하기 짝이 없는 일이다.

사실 징계를 받고 물러나야 할 쪽은 노조위원장이나 노조원들이 아니라 징계를 주도한 김재철 사장과 황희만 부사장이다. 문화방송의 파업 사태는 김 사장이 노조와의 약속을 깨고 황희만씨를 부사장으로 임명한 데서 촉발된 것이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김 사장은 김우룡 전 이사장이 제기한 ‘큰집 조인트’ 의혹을 해소하려는 어떠한 노력도 하지 않았다. 신동아와 김 방문진 전 이사장을 고소하겠다는 약속을 이행하지 않았다. 또 노조와 한 애초 약속을 뒤집고 권력 쪽의 요구대로 황희만씨를 보도와 제작을 총괄하는 부사장직에 임명했다. 결국 김우룡씨가 말한 바대로 스스로 권력의 하수인임을 인정한 것이나 진배없다. 엠비시의 구성원들이 이런 그를 공영방송 사장으로 인정할 수 없다고 한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었고 부끄러움을 안다면 스스로 물러났어야 했다.

그런데 자숙을 해도 시원찮을 그가 적반하장으로 중징계 조처를 들고 나왔다. 그것도 무분별한 언론장악 기도를 위시한 현 정권의 오만과 독선에 대한 유권자들의 심판 결과가 확인된 다음날이었다. 큰집의 지시에 따라 움직여온 그의 전력에 비춰 볼 때 이번 징계 결정을 그의 독단적 행위로 치부하기는 어렵다. 그렇다면 현 정권이 선거로 나타난 민심을 무시한 채 언론장악 노력을 계속하겠다는 의지를 보인 것으로 풀이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정권과 김 사장의 무리수가 그대로 통용될 것으로 생각한다면 착각이다. 이 정권은 아무리 반대가 있더라도 방송만 장악하면 그뿐이라고 생각하는 모양이지만, 우리 국민들이 그런 오만을 좌시하지 않고 있음은 선거 결과로도 확인됐다. 또 벌써부터 엠비시 안팎에서 비판의 목소리들이 높아지고 있다. 권력은 엠비시 장악 기도를 중단하고, 김 사장은 징계조처를 철회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