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6.08 20:16 수정 : 2010.06.08 20:16

6·2 지방선거 참패 이후 한나라당 안에서 쇄신론이 분출하고 있다. 계파별로 약간의 온도차가 있긴 하지만 국정운영 방식의 전면 개선, 대대적인 인적 물갈이, 당·정·청 간 의사소통 등의 요구가 봇물 터지듯 쏟아진다. 당내 개혁성향의 초선의원 모임인 민본21은 어제 “국정쇄신을 위해 우선 선행할 것은 청와대의 전면 개편”이라며 청와대를 정조준했다.

하지만 한나라당의 정풍운동을 보는 여론의 시선은 사뭇 차갑다. 시작은 거창했지만 결국 뱀꼬리로 끝나곤 했던 과거의 경험이 너무 생생하기 때문이다. 2008년 촛불시위 때도, 지난해 4·29 재보선 패배 뒤에도 한나라당에서는 쇄신론의 소용돌이가 있었다. 무대에 등장한 인물의 면면이나 레퍼토리도 언제나 판박이로 똑같았다. 허무한 결말도 똑같았다. 한나라당 정풍운동에 신뢰가 가지 않는 이유다.

한나라당의 쇄신운동이 찻잔 속의 태풍으로 끝난 일차적인 원인은 청와대와 당 지도부의 오불관언, 그리고 쇄신파의 뒷심 부족에 있었다. 그러나 더 근본적인 이유로는 쇄신파를 자처하는 사람들의 철학의 빈곤, 성찰 부족을 꼽지 않을 수 없다. 쇄신파들은 입으로는 오만과 독선 타파를 외치면서도 자신들 역시 그 늪에서 헤어나오지 못했다. 때로는 정부보다 오히려 더 목소리를 높였고, 더 거칠게 날뛰었다. 4·29 재보선 뒤 “독선과 오만에 대한 심판”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던 의원들이 법원의 결정에 불복하면서까지 전교조 명단 공개에 앞장선 것은 한 예일 뿐이다.

한나라당의 쇄신운동은 심하게 말하면 선거 패배 후 한번쯤 거쳐가는 통과의례였다. 문제의 본질에 대한 진정한 고민과 사유가 전제되지 않으니 뒷심을 발휘할 턱도 없었다. 청와대가 눈을 부릅뜨면 슬그머니 뒷전으로 물러나는 게 고작이었다. 여기에 권력 게임과 계파간 다툼 양상까지 겹쳤다. 바람만 불면 곧바로 꺼지는 비눗방울 신세가 된 것은 필연적인 결과다.

한나라당 쇄신파들은 “이번에는 다르다”고 말한다. 결연하고 비장한 태도마저 보인다. 아직 크게 믿음이 가지는 않지만 주시해보겠다. 어쨌든 정부여당의 환골탈태를 추동할 힘은 쇄신파에 있는 게 현실이기 때문이다. 과거 쇄신운동이 실패한 근본적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진지하게 성찰해 결실을 맺길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