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6.16 21:46 수정 : 2010.06.16 21:46

어윤대 국가브랜드위원장이 국내 최대 금융회사인 케이비금융지주 회장에 내정됐다. 역시 우려했던 그대로다. 능력과 자질에 대한 검증은 뒷전으로 밀리고, 이명박 대통령의 최측근인 어 위원장이 민간 금융회사의 회장 자리를 여유있게 낚아챈 모양새다.

금융감독원이 지난해 말 케이비금융에 대한 표적검사에 나설 때부터 관치 논란이 그치지 않았다. 회장을 노리는 강정원 국민은행장의 개인 비리를 찾기 위한 의도가 너무나 분명했다. 결국 금감원이 검사에 나선 뒤 강 행장의 후보직 사퇴, 어 위원장 후보 추천 등의 과정이 일사천리로 이어졌다. 이 대통령의 고려대 2년 후배인 어 위원장을 회장에 앉혀 케이비금융을 장악하기 위한 의도였다고 해석할 수밖에 없다.

케이비금융은 국내 최대 금융회사다. 은행장 추천권이 있는 지주회사 회장은 그에 걸맞은 능력과 자질을 지녀야 한다. 어 위원장이 금융통화위원회 위원과 고려대 총장을 지냈다고 하지만 금융회사의 실무 경험은 전무하다. 이런 사람이 격변하는 국내외 금융환경 속에서 케이비금융을 제대로 이끌 수는 없다. 금융위기 때 다국적 투자은행들이 줄줄이 쓰러져 나가는 것을 목격하지 않았던가. 평생을 은행 경영에 바친 최고경영자들도 실적 부진으로 쫓겨나는 판이다. 이런 현실에서 실무를 전혀 모르는 교수 출신을 회장에 선임한다면 누가 납득할 수 있겠는가.

형식은 케이비금융 회장후보추천위원회가 경쟁을 통해 어 위원장을 선발한 것으로 돼 있다. 하지만 이를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대통령 측근에 대한 안배라고 볼 수밖에 없다. 이 대통령이 없는 상태에서 어 위원장이 추천될 수 있었겠는지를 생각해보면 답이 쉽게 나온다. 케이비금융만이 아니다. 4대 금융회사 최고경영자들의 얼굴을 살펴보자. 이팔성 우리금융지주 회장, 김승유 하나금융지주 회장에 이어 어 위원장까지 세명이 모두 고대 출신이고 대통령과 특수관계에 있다.

이러고도 금융 선진화를 말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 정부는 이구택 전 포스코 회장을 물러나게 하고 후임자를 선임하는 과정에 개입해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케이비금융도 마찬가지다. 능력과 자질이 검증되지 않은 인물을 회장 자리에 앉혀놓고 선진화와 대형화를 말하는 것부터가 어불성설이다. 케이비금융뿐 아니라 전체 금융산업, 나아가 나라경제를 망치는 일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