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금융권이 대통령 측근들 놀이터인가 |
어윤대 국가브랜드위원장이 국내 최대 금융회사인 케이비금융지주 회장에 내정됐다. 역시 우려했던 그대로다. 능력과 자질에 대한 검증은 뒷전으로 밀리고, 이명박 대통령의 최측근인 어 위원장이 민간 금융회사의 회장 자리를 여유있게 낚아챈 모양새다.
금융감독원이 지난해 말 케이비금융에 대한 표적검사에 나설 때부터 관치 논란이 그치지 않았다. 회장을 노리는 강정원 국민은행장의 개인 비리를 찾기 위한 의도가 너무나 분명했다. 결국 금감원이 검사에 나선 뒤 강 행장의 후보직 사퇴, 어 위원장 후보 추천 등의 과정이 일사천리로 이어졌다. 이 대통령의 고려대 2년 후배인 어 위원장을 회장에 앉혀 케이비금융을 장악하기 위한 의도였다고 해석할 수밖에 없다.
케이비금융은 국내 최대 금융회사다. 은행장 추천권이 있는 지주회사 회장은 그에 걸맞은 능력과 자질을 지녀야 한다. 어 위원장이 금융통화위원회 위원과 고려대 총장을 지냈다고 하지만 금융회사의 실무 경험은 전무하다. 이런 사람이 격변하는 국내외 금융환경 속에서 케이비금융을 제대로 이끌 수는 없다. 금융위기 때 다국적 투자은행들이 줄줄이 쓰러져 나가는 것을 목격하지 않았던가. 평생을 은행 경영에 바친 최고경영자들도 실적 부진으로 쫓겨나는 판이다. 이런 현실에서 실무를 전혀 모르는 교수 출신을 회장에 선임한다면 누가 납득할 수 있겠는가.
형식은 케이비금융 회장후보추천위원회가 경쟁을 통해 어 위원장을 선발한 것으로 돼 있다. 하지만 이를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대통령 측근에 대한 안배라고 볼 수밖에 없다. 이 대통령이 없는 상태에서 어 위원장이 추천될 수 있었겠는지를 생각해보면 답이 쉽게 나온다. 케이비금융만이 아니다. 4대 금융회사 최고경영자들의 얼굴을 살펴보자. 이팔성 우리금융지주 회장, 김승유 하나금융지주 회장에 이어 어 위원장까지 세명이 모두 고대 출신이고 대통령과 특수관계에 있다.
이러고도 금융 선진화를 말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 정부는 이구택 전 포스코 회장을 물러나게 하고 후임자를 선임하는 과정에 개입해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케이비금융도 마찬가지다. 능력과 자질이 검증되지 않은 인물을 회장 자리에 앉혀놓고 선진화와 대형화를 말하는 것부터가 어불성설이다. 케이비금융뿐 아니라 전체 금융산업, 나아가 나라경제를 망치는 일이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