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멕시코만 원유유출 사고의 교훈 |
멕시코만 원유 유출이 두달 가까이 지속되는 가운데, 사고 당사자인 영국석유(BP)가 그제(현지시각) 미국민들에게 사과하고 200억달러의 피해보상기금을 내놓겠다고 발표했다. 비피의 이런 움직임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집요한 책임추궁에 따른 것이다.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달 유출 지역을 방문해 사고를 일으킨 비피의 배상책임을 언급한 데 이어 지난 15일 대국민 연설에서 비피 쪽에 충분한 보상기금을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원유 유출 피해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지는 상황에서 유출 책임자로부터 최소한의 피해보상기금이나마 확보한 것은 다행이다. 3년 전 삼성중공업 예인선단과 유조선 허베이스피리트호의 충돌로 수조원의 피해를 입었던 충남 태안지역 주민들이 우리 정부의 무능과 소극적 태도 탓에 피해보상도 제대로 못 받고 있는 점을 생각하면 부럽기까지 하다.
하지만 보상기금 마련은 사태 해결의 시작일 뿐이다. 4월20일 시작된 원유 유출 피해가 어느 정도까지 커질지 예상도 하기 어려운 형편이다. 아직도 폭발한 유정을 막지 못했고, 새로 시도되는 강압유정 설치에 성공하더라도 2~3개월은 더 유출이 지속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유출 규모 역시 애초 비피가 말했던 하루 1000배럴이 아니라 6만배럴에 이르며 더 늘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게 미국 과학자들의 추정이다. 오바마 대통령의 말대로 미국 역사상 최악의 환경재난이다.
이런 대규모 환경재난이 남의 일일 수만은 없다. 화석연료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현재의 에너지 정책을 유지하는 한 이런 사고가 재발할 가능성은 언제나 존재한다. 세계적으로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을 줄여나가고 에너지를 절약하는 삶의 방식을 적극 모색해야 할 까닭이다.
환경재난은 복원이 쉽지 않은데다 복원이 된다고 해도 천문학적 비용이 든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이명박 정부가 국민의 의사에 반해 강행하고 있는 4대강 사업의 위험성을 다시 한번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자연을 거스르면서 폭력적으로 강을 파헤치는 이 사업이 환경적 재난을 불러올 수 있다는 지적은 이미 숱하게 제기됐다. 인간의 탐욕이 빚어낸 멕시코만의 환경재앙을 먼 산의 불로 보지 말고 우리의 에너지 정책과 구시대적인 개발 위주 사고방식을 되돌아보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