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선거민심과 동떨어진 민주당 당권다툼 |
민주당의 진로를 둘러싼 당내 논의가 빗나가고 있다. 전당대회를 앞두고 경쟁의 규칙을 정비한다고 하지만, 정작 필요한 당 혁신 과제가 실종되어 걱정된다. 민주당이 벌써부터 6·2 지방선거 민심을 잊고 밥그릇 챙기기에 골몰하는 것 아니냐는 의심마저 든다.
요즘 민주당내 주류와 비주류는 집단지도체제, 당권·대권 분리, 전당원 투표제 등의 쟁점을 놓고 다투고 있다. 이 가운데 집단지도체제는 현재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해서 뽑도록 돼 있는 것을 최고위원 선거 하나로 통일하고 그중 최고 득점자를 대표로 하자는 방안이다. 한마디로 말해 민주당 중진들한테 중요한지 몰라도 국민들한테는 관심 밖의 문제다. 더욱이 지방선거 이후 민주당의 혁신 비전이 제시되지 않고 있다. 이런 터에 당권경쟁 규칙만 논의하는 것은 앞뒤가 바뀐 모양새다. 민주당의 구조적 한계를 그대로 유지한 채 그 울타리 안에서 기득권을 굳혀나가겠다는 얘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최근의 당권경쟁 규칙 논쟁은 주로 비주류 인사들이 제기하고 있다. 이들은 당의 쇄신을 내걸고 있지만 지금과 같은 식으로는 진정한 쇄신 의지를 평가받기 어렵다. 주류도 지방선거 뒤 노선과 비전을 재평가하는 작업에 소홀했다. 양쪽 모두 민심과 동떨어진 행보를 하고 있다고 비판받아 마땅하다.
지금 민주당의 과제는 분명하다. 지방선거를 통해 성과를 낸 것은 민주당이 잘해서가 아니었음을 직시하고 혁신 비전을 세우는 일이다. 혁신 방향은 지역과 세대, 노선 등에 모두 걸쳐 있다. 지역적으로는 특정 지역에 머무는 한계를 극복해야 하며, 세대 측면에선 젊은층의 감성과 호흡할 방법을 찾아야 한다. 노선에선 대선과 총선의 패배를 거치며 보수화한 노선을 좀더 진보적인 쪽으로 되돌리는 게 시급하다. 야권연대 또는 범야권통합을 통해 당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도 있을 것이다. 이런 비전 속에서 민주당이 무엇을 버리고 무엇에 헌신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게 무엇보다 먼저다.
민주당은 다음달 28일 국회의원 재보궐선거를 전후해 전당대회를 치르게 돼 있다. 이번 전당대회는 당의 한계를 그대로 둔 채 간판만 바꾸는 게 아니라 혁신 비전을 치열하게 토론하고 채택하는 기회가 돼야 한다. 그것이 지방선거 민심의 주문임을 민주당의 주류와 비주류 모두 명심해야 한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