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5.8% 성장보다 서민생활 안정이 중요하다 |
정부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5% 안팎에서 5.8%로 대폭 올려잡았다. 이는 우리 경제가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충격에서 벗어나 정상궤도에 올라섰음을 의미한다. 정부가 이를 계기로 그동안 위기 대응에 맞춰졌던 거시정책 기조를 점진적으로 정상화하기로 한 것은 뒤늦은 감이 있지만 다행이다.
최대 관심은 금리인상 등 본격적인 출구전략 시행 시기다. 더 머뭇거리다간 물가불안 등 부작용이 속출할 수 있는 만큼 가능한 이른 시일 안에 금리인상을 단계적으로 시작해야 한다. 그래야 물가상승 없는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지속할 수 있다. 한국은행이 어제 총액대출한도를 1조5000억원 줄인 것은 이런 맥락에서 볼 때 시의적절한 조처였다.
그렇다고 높은 성장률이 마냥 좋은 것만은 아니다. 정부가 최근 일반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를 보면, 우리 경제가 좋아졌다는 응답은 16%에 그친 반면 84%는 나빠졌거나 비슷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는 성장의 혜택이 소수 대기업과 특정 산업에 치중되고 다수의 서민들은 그 혜택을 보지 못하고 있음을 뜻한다. 정부도 이를 의식한 듯 하반기에는 경제정책의 초점을 서민생활 안정에 맞추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를 위한 구체적인 정책은 찾아볼 수 없다. 서민생활을 안정시키려면 서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는 구체적인 정책을 펴야 한다. 예를 들면,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에 만연한 불공정 하도급을 강력히 단속하고, 대기업들 간의 불법 내부거래를 철저히 차단함으로써 중소기업이 자생력을 갖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 기업형 슈퍼마켓(SSM)이 골목상권까지 장악하는 걸 법적으로 막는 것도 필요하다. 최저임금도 적정 수준으로 높이고, 저임금에 시달리는 비정규직도 단계적으로 정규직화함으로써 안정적인 소득 기반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 이런 개별 정책들에는 눈감은 채 아무리 말로만 서민생활 개선을 외쳐봤자 공염불에 불과하다.
특히 부동산 문제는 신중하게 다뤄야 한다. 최근 집값 하락으로 거래가 격감하자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유예 연장 등 사실상의 부동산시장 부양책을 검토한다고 한다. 하지만 최근의 집값 하락세는 비정상적인 집값이 제자리를 찾아가는 과정으로 봐야 한다. 그런 만큼 섣불리 부동산시장 부양책을 펴기보다 당분간 집값 하락 추세를 좀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