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아이들 중심의 ‘희망의 교육 시대’를 열어나가자 |
주민 직선으로 뽑힌 시·도 교육감들이 어제 일제히 직무를 시작함에 따라 본격적인 교육자치시대의 막이 올랐다. 민선 교육감들은 앞으로 4년간 각 시·도에서 학생과 주민의 뜻에 부합하는 교육을 구현해 교육자치를 정착시킬 막중할 책임을 지고 있다. 산업시대의 붕어빵식 교육, 정치에 휘둘리는 정파교육의 질곡을 털어내고, 진정한 의미의 창조적 교육, 인성교육을 실현해 교육이 고통이 아니라 희망이 되는 시대를 열어나가야 하는 것이다.
우리 초중등교육이 처한 위기는 공지의 사실이 됐다. 대학입시에 모든 것을 거는 잘못된 경쟁시스템이 학교 현장에서 교육다운 교육을 없애버린 지 오래다. 특히 교육에서 시장원리를 강조하는 이명박 정부가 들어선 이후 교육의 공공성이 더 취약해져 특권교육이 판을 치고 있다. 아이들은 무한경쟁 속에서 공부기계가 되고, 학부모들은 엄청난 사교육비 부담에 허리가 휜다. 사교육에 밀린 교사들은 학생과 학부모의 존경을 받지 못하면서 갈수록 자존감을 잃어간다. 이제 학교는 누구에게도 행복을 주지 못하는 공간이 됐다. 진정한 교육과 행복이 사라진 교육현장에선 이권과 승진을 둘러싼 야바위꾼 같은 비리만이 활개친다.
이런 상태를 방치해선 우리 교육에 미래가 없다. 단순한 학력 신장을 넘어 아이들의 행복을 중심에 두는 교육을 복원해야 한다. 세계 최장의 노동시간에 시달리는 우리 노동자들보다도 더 많은 시간을 공부라는 노동에 매달리게 하는 비인간적인 교육환경을 바꿔야 한다. 교육의 공공성을 회복하고 아이들에게 더불어 사는 가치를 가르쳐야 한다. 다행인 것은 진보와 보수의 구분 없이 대부분의 교육감들이 공동체를 생각하는 창의적이고 실력있는 인재 양성을 목표로 삼고 있는 점이다. 접근하는 방식이 다를지라도 목표가 같다면 상호 소통과 협력이 가능하다.
교육자치의 성공을 위해선 교육과학기술부의 구실 역시 중요하다. 교육자치가 교육의 자주성을 보장하고 지역 현실에 맞는 교육을 구현하기 위해 도입됐다는 점에서 일선 교육청에 대한 교과부의 지나친 간섭은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교육감에게 위임한 사안에 대한 지도감독권 남발은 피해야 한다. 교과부는 큰 틀의 정책을 고민하고 교육감은 현실적 여건에 맞춰 이를 이행하는 관행을 만들어갈 때 교육자치가 굳게 뿌리내릴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