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7.01 19:34 수정 : 2010.07.01 19:34

정부가 광화문 복원 공사 일정을 앞당기도록 재촉하고 있어 부실 공사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높다. 문화재청은 복원된 광화문 주요 건물을 오는 8월15일 일반에 공개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문화재청 직원들이 지난 5월부터 현장에 수시로 찾아와 기본 공정을 7월까지 반드시 끝내도록 재촉했다고 한다. 이런 재촉 탓에 서둘러 대충 작업을 하는가 하면 원래 설계도와 다른 편법 복원까지 벌어지고 있다는 게 현장 작업자들의 말이다. 문화재 복원마저 속도전이라니 그저 한심할 뿐이다.

정부가 광화문 복원 일정을 앞당긴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애초 올해 연말까지 복원 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이었으나, 정부는 11월 서울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위해 완공 시점을 9월로 앞당긴 바 있다. 그리고 이번에 다시 광복절에 맞춰 일정을 더 앞당기도록 재촉한 것이다. 한 공사 관계자는 “역대 문화재 공사에서 두 차례에 걸쳐 다섯달이나 공기를 깎은 건 전례가 없다”고 지적했다. 문화재 복원까지 토목공사 공기 단축하듯 밀어붙이고 있는 셈이다. 4대강 공사를 하면서 문화재 조사를 제대로 하지 않아 말썽을 빚은 일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명박 정부가 문화재를 소중하게 다루려는 생각이나 있는지 의심스럽다.

조상의 정신과 손길이 깃들어 있는 문화재를 소중하게 다루고 잘 지키는 건 후손들의 기본 도리다. 훼손된 문화재를 원래 모습에 가깝게 복원해야 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그러려면 철저한 고증을 거치고 작업 하나하나에 정성을 기울여야 한다. 어떤 공사든 서두르면 부실해지기 마련이지만, 특히 문화재 복원의 경우엔 그렇다. 광화문은 박정희 시절 졸속 복원한 탓에 해체되고 다시 복원되는 것이다. 국내 정치적 행사를 위해 혹은 국제 행사에서 외빈에게 보여주기 위해 공기를 억지로 단축하는 건 그런 낭패를 불러오는 것이나 다름없다. 복원 작업을 마구잡이로 서두르다 보니 몇년 지나지 않아 관련 건축물들이 훼손될지 모른다는 지적이 이미 문화재 동네에서 나오고 있다.

일제에 의해 제 모습을 잃은 뒤 높다란 콘크리트 건축물로 엉뚱하게 지어졌던 광화문을 번듯하게 복원하는 건 국가의 체통과 관련된 일이다. 정부는 이제라도 그동안의 작업을 꼼꼼히 점검하고 공사 일정을 넉넉히 잡음으로써 한 점 실수가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