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7.04 21:02 수정 : 2010.07.04 21:02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방송> 본부(새 노조)의 파업이 오늘로 닷새째에 들어간다. 기자·피디가 중심이 되어 지난해 말 결성된 새 노조는 공영방송 사수를 주요 목표로 내걸고 있다. 노조는 지난해 11월 취임한 김인규 사장 체제에서 한국방송의 공정성이 크게 훼손됐다고 보고 있다. 이번 파업은 한국방송 구성원들도 공영방송의 위기를 더는 두고 볼 수 없는 지경이 됐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수없이 지적됐듯이 한국방송은 김 사장 취임 이후 노골적인 친정부 성향을 드러내고 있다. 뉴스에서 대통령을 우호적으로 묘사하는 일이 그전 정부 때에 비해 부쩍 늘었고, 정부에 불리한 사안들이 제대로 보도되지 않는 일도 잦아졌다. 이 때문에 외부의 평가도 급격히 나빠졌다. <한겨레>가 지난달 언론개혁시민연대 등과 함께 실시한 여론조사를 보면, 언론학자·기자·피디의 77%가 한국방송의 정치적 독립성이나 보도 공정성이 지난 정부 때보다 나빠졌다고 평가했다. 일반 시청자의 평가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이 조사에서 일반인의 62%가 한국방송이 정부나 권력·자본으로부터 독립되어 있지 않다고 평가했다. 또 절반 이상은 한국방송이 사회적 쟁점을 공정하게 보도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방송이 이런 평가를 받는 지경까지 왔으니 노조가 이를 문제삼는 것은 당연하다. 노조가 공정방송위원회 설치를 파업의 핵심 요구사항으로 제기하는 것 또한 당연하고도 정당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방송의 문제점을 공식적으로 제기할 통로를 갖추는 등 상시적인 감시·견제 활동을 펴는 건 방송 노조의 의무이자 권리다.

하지만 회사 쪽은 새 노조와 진지하게 대화하려는 자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노조의 교섭 요구를 계속 외면하다가 지난 3월 법원의 판결이 나자 그제야 교섭에 응했고, 이번 파업에 대해서도 강경 일변도로 대응하고 있다. 이 때문에 파업이 장기화할 가능성도 배제하기 힘들다. 이렇게 되면 심각한 방송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 새 노조가 규모는 기존 노조에 비해 작더라도 기자와 피디가 많이 참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파업이 경영진의 친정부 행태에서 비롯된 만큼 사태 해결을 위해서는 경영진의 태도 변화가 필요하다. 경영진은 이제라도 노조의 요구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특히 방송의 공정성 강화 요구는 전적으로 수용해야 마땅하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