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7.16 22:46 수정 : 2010.07.20 09:19

일본 미쓰비시중공업이 일제 때 이 회사의 강제노역에 동원됐던 근로정신대 할머니들의 문제를 논의할 장을 마련하는 데 동의했다고 ‘나고야 미쓰비시 조선여자근로정신대 소송을 지원하는 모임’(소송지원회)이 그제 밝혔다. 미쓰비시 쪽이 피해 할머니들과 한-일 시민단체의 끈질긴 연대투쟁 앞에 마침내 무릎을 꿇은 셈이다.

연대투쟁의 중심엔 소송지원회가 있었다. 소송지원회는 미쓰비시에서 일하다 1944년 지진으로 숨진 근로정신대 소녀를 위한 위령비를 세운 다카하시 마코토 회장이 중심이 돼 1998년 결성됐다. 소송지원회는 할머니들이 일본 정부와 미쓰비시를 상대로 1999년 낸 소송을 적극 지원했다. 이 소송은 2008년 일본 최고재판소에서 최종 기각됐다. 하지만 나고야고등재판소는 한일협정으로 청구권은 소멸했지만 강제연행과 강제노역은 인정된다며 일본 정부와 미쓰비시에 피해자 구제를 촉구했다. 소송지원회는 이를 바탕으로 매주 금요일 나고야에서 도쿄 미쓰비시 본사까지 가서 항의시위를 벌이는 일을 3년째 계속하고 있다. 이들의 노력에 호응해 한국 쪽에서도 지난해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이 결성돼 연대투쟁에 나섰다. 지난 6월에는 두 단체가 미쓰비시 쪽에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13만여명의 서명을 전달하고 협의체 구성을 요구했다.

미쓰비시가 요구를 수용함으로써 일단 대화의 장은 마련됐다. 하지만 미쓰비시 쪽은 대화를 요구하니 응하는 것일 뿐이라고 선을 그었다. 이는 문제를 풀려는 자세가 아니다. 강제노역의 책임을 흔쾌히 인정하고 피해보상 요구를 받아들여야 한다. 이미 고령이 된 피해자들에게는 시간이 없다. 한·일 두 나라 정부도 문제해결에 적극 나서야 한다. 일본 관방장관도 인정했듯이 일본의 전후처리는 불충분하기 짝이 없다. 일본 정부 주장대로 한일강제병합 100주년을 한-일 신시대의 기원으로 만들려면 가해자인 일본 쪽이 먼저 구체적인 행동을 보여야 한다.

우리 정부는 피해자들과 시민단체들이 외롭게 투쟁하는 동안 도움을 주기는커녕 미쓰비시중공업을 아리랑 3호 발사 업체로 선정하는 등 피해자들의 가슴에 못을 박아왔다. 이제 이런 태도를 반성하고 할머니들의 한을 풀어줘야 한다. 이번 협상의 성패는 이 회사의 피해자뿐 아니라 70만명에 이르는 강제노역 희생자들에게도 큰 영향을 끼칠 것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