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7.26 20:24 수정 : 2010.07.26 20:24

결국 우려했던 사태가 일어났다. 4대강 사업에 찬성한다는 주민들이 4대강 사업 반대 농성장에 난입해 집기를 부수고 국회의원까지 폭행하는 일이 벌어진 것이다. 폭행 현장에는 많은 경찰이 있었지만 수수방관하고 있었다고 한다. 4대강 사업을 둘러싼 논란이 대화와 협상을 통한 타협점을 찾지 못하고 물리적 충돌까지 빚게 돼 안타깝다. 정부는 더 큰 불상사가 생기기 전에 대화에 나서 해결책을 모색하기 바란다.

4대강 사업에 대해서는 국민 다수가 반대하지만 일부 찬성하는 쪽도 있는 게 현실이다. 양쪽 다 자신들의 의견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할 자유가 있다. 지난 22일부터 남한강 이포보와 낙동강 함안보 건설 현장을 점거하고 농성을 벌이고 있는 환경단체 회원들은 그들 방식대로 반대 의사를 표출하고 있는 것이다. 4대강 사업에 찬성하는 이들도 나름대로 의사를 나타내면 된다. 그런데도 반대 농성장에 난입해 반대 목소리를 폭력으로 제압하려 한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제 이포보 부근 농성장에서 일어난 폭력 사태는 무법천지를 방불케 했다고 한다. 4대강 사업에 찬성하는 주민이라고 밝힌 100여명이 각목을 들고 들어와 천막을 부수고 의자 등 집기를 내던졌다. 이들이 국회의원과 환경단체 간부를 각목으로 구타하는데도 주변에 있던 경찰들은 제지조차 안 했다고 한다. 마치 물리적 충돌이 더 커지기를 기다리고 있었던 게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 정도다.

같은 날 오후 여주군청 앞에서 열린 4대강 사업 반대 집회를 방해한 것도 마찬가지다. 합법적으로 신고한 집회인데도 4대강 사업에 찬성한다는 주민들이 집회를 노골적으로 방해했다. 심지어 ‘빨갱이’라는 용어를 써가며 4대강 사업 반대 집회자들을 몰아쳤다고 한다. 합법적인 집회를 이렇게 방해하는데도 경찰은 수수방관했다.

정부는 이런 물리적 충돌이 벌어지지 않도록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 혹시라도 4대강 사업 찬성 주민들을 이용해 반대 목소리를 제압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면 큰 착각이다. 해법은 정부가 4대강 사업 반대 의견을 겸허히 받아들여 대화와 타협을 통한 대안 찾기에 나서는 것뿐이다. 그러지 않으면 반대 목소리는 더욱 커지고 곳곳에서 더 큰 충돌이 벌어질 것이다. 왜 이렇게 국력을 비생산적이고 소모적인 곳에 허비하고 있는지 답답할 따름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