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7.28 20:49 수정 : 2010.07.28 20:49

한국과 리비아 사이에 심각한 외교마찰이 벌어지고 있다. 리비아 주재 한국대사관 직원이 현지에서 정보수집 활동을 하다가 추방된 지 40일이 넘었다. 또 한국인 선교사와 농장 주인이 리비아에 구금돼 있고, 한국 주재 리비아 대표부의 업무도 중단된 상태다. 왜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 당국은 제대로 대처하고 있는 것인지, 온통 의문투성이다.

외교부는 국가정보원 파견 요원이 합법적으로 북한 및 방위산업 관련 정보 수집 활동을 했는데 리비아 쪽이 오해를 했다고 설명한다. 하지만 현지 언론 보도를 보면 외교부 설명을 그대로 받아들이기 쉽지 않다. 이 요원은 무아마르 카다피 국가원수를 비롯한 리비아 정부 요인의 활동에 관한 첩보를 수집해왔다고 한다. 리비아 보안당국은 이 요원의 활동이 미국 등 제3국에 정보를 넘겨주기 위한 목적이 아니었는지 의심한다. 리비아 쪽이 외교관 추방을 넘어 단교도 검토중인 것을 보면, 오해 차원을 넘어선 사태로 보인다.

사태의 진전만 보더라도 우려스럽다. 사실관계를 떠나 두 나라 친선을 저해하며 국익에도 도움될 게 없는 활동을 하다 말썽을 빚은 현지 공관의 행태를 문제삼지 않을 수 없다. 가뜩이나 아프가니스탄 재파병으로 이슬람권에서 한국의 인상이 나빠진 터에 악재를 보태는 점도 유감스럽다.

설사 외교부 설명이 맞다고 해도 답답하긴 마찬가지다. 한국인 선교사와 농장 주인은 구금된 지 한달째 영사 접견이 허용되지 않고 있다. 오해의 문제라면 우리 공관의 자국민 보호에 큰 문제가 있는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의 형인 이상득 의원이 대통령 특사로 갔다가 카다피 국가원수를 만나지도 못하고 돌아온 일도 꼴사납다. 최고권력자의 측근을 내세워야 잘 통하는 이슬람권의 문화를 고려했다고 하나, 대통령이 다급하다고 형한테 도움을 청해 나서도록 하는 건 결코 좋은 모양새는 아니다.

한국과 리비아는 1978년 총영사관 설치에 이어 1980년 12월 공식 수교를 한 지 올해로 30년이 됐다. 리비아는 한국의 최대 건설시장 가운데 하나이며, 이슬람권 외교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두 나라의 우호관계에 금이 가는 것은 여러모로 바람직스럽지 않다. 정부는 조속한 해결을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리비아도 감정적 접근이 아니라 우호관계를 더 다진다는 자세를 가져주기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