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8.08 20:12 수정 : 2010.08.08 20:12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4대강 사업과 관련해 곧 원내대표 회담을 하기로 했다. 사업을 둘러싼 마찰이 갈수록 커지는 마당에 국회가 뒤늦게나마 조정 가능성을 찾아 나선 것은 다행스러운 일이다. 유연한 발상으로 지혜를 짜내 해법을 도출해주기 바란다.

이를 위해선 논의 틀에서부터 전향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김무성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민주당이 제안한 국회 검증특위 대신에 국토해양위 등 상임위 중심으로 논의하면 된다고 말한다. 그러나 4대강 사업의 내용은 국토해양위뿐 아니라 환경노동, 행정안전, 농림수산, 기획재정 등 여러 상임위에 걸쳐 있다. 따라서 각각의 상임위보다는 하나의 특위에서 종합적으로 살피는 게 효율적이다. 또한 이 문제를 집중적으로 논의해 올가을 정기국회 예산심의가 시작되기 이전에 매듭짓기 위해서도 특위 방식이 낫다고 본다.

보 건설과 준설 규모 등 사업 내용과 관련해서도 논의에 제한을 두지 말아야 한다. 정부는 지난해 예산국회를 거쳐 확정된 사업계획을 재론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당시 4대강 사업 예산은 충분한 심의 없이 날치기로 처리됐다. 국민들 사이에 갈등이 확산돼온 것은 그러한 배경과 무관하지 않다. 야당 또한 금강 사업 외에 다른 3개 강 사업에 대한 대안도 빨리 내야 한다. 그래야 국회 차원의 구체적인 논의가 가능해진다. 충남도와 경남도 등은 이 사업 재검토를 위한 자체 특위를 가동중이다. 자기 지역 문제를 책임감을 갖고 전문적으로 살피겠다고 하니, 이들도 국회 논의 과정에 의견을 내도록 하는 게 마땅하다.

김무성 한나라당 원내대표와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가 들어선 뒤 정치복원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두 원내대표는 기대에 부응하는 결과물을 만들어주기 바란다. 이를 위해선 무엇보다 여당의 태도 변화가 필요하다. 더이상 청와대 거수기 노릇을 하지 않겠다는 다짐이 절실히 요청되는 시점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