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8.09 22:35 수정 : 2010.08.09 22:35

이명박 정부의 지역편중 인사가 날이 갈수록 더 심각해지고 있다. 8·8 개각을 통해 대통령을 비롯해 국무총리, 국회의장, 한나라당 대표 등 나라의 최고지도자들이 모두 영남 출신들로 채워졌다. 거기에 권력의 핵심 요직인 국세청장마저 이명박 정권의 실세라인 인맥창고인 ‘티케이’(대구·경북) 출신 인사로 바뀌었다. 명실상부하게 영남 일색의 권력지도가 그려진 셈이다. 최근 ‘영포라인’ 사건 등으로 특정 지역 출신 인사들에 의한 권력전횡 문제가 여론의 호된 질타를 받는 상황에서도 이 대통령은 아랑곳하지 않고 지역편중 인사를 강행했다.

이 대통령의 이런 인사 경향은 이미 청와대 진용을 개편할 때부터 나타났다. 새로 출범한 청와대 3기 비서진에서 비서관급 이상 영남 출신은 40% 이상을 차지해 예전보다 비율이 더 높아졌다. 산술적 인사편중도 문제지만 질적인 편중은 더욱 심각하다. 지역안배를 한다고 해도 호남 출신 등은 구색 맞추기에 그치고, 힘깨나 쓰는 노른자위는 모두 영남이 독식했다. 국정원장, 국세청장, 경찰청장, 청와대 민정수석 등 사정라인 지휘부가 거의 영남 일색이 된 것은 단적인 예다.

이 대통령의 의도나 심경을 짐작하기란 어렵지 않다. 집권후반기에 들어서면서 그래도 자신에게 끝까지 충성을 바칠 사람은 측근이거나 같은 지역 출신 사람들밖에 없다고 여길 법도 하다. 하지만 친위세력 구축도 좋고 레임덕 방지도 좋지만 이것은 도가 지나치다. 대한민국 대통령이 아니라 경상도 대통령에 머물겠다는 생각을 하지 않고서는 할 수 없는 수준이다.

지역편중 인사는 이 대통령이 강조해온 소통과 화합이 한낱 구두선에 불과하다는 것도 방증한다. ‘끼리끼리 인사’는 필연적으로 다른 지역 출신 인사들을 소외시켜 분열과 갈등을 부추기기 마련이다. 관료사회의 특성상 윗자리를 특정 지역 출신들로 채우면 아래로 내려갈수록 쏠림 현상은 더욱 심해진다. 공무원사회의 동요와 불만은 잠복상태에 있는 일반국민의 지역감정에까지 불씨를 댕기면서 대립과 분열은 더욱 증폭될 수밖에 없다.

이 대통령이 이런 폐해를 모르고 영남 편중 인사를 했다면 인사권을 행사할 자격이 없는 것이요, 알고도 강행했다면 망국병을 스스로 부추긴 것이나 다름없다. 이 대통령은 더는 소통과 화합이니, 지역감정 타파니 하는 말을 입에 담지 않았으면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