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공교육 정상화와 거리 먼 대입선진화방안 |
‘중장기 대입 선진화 연구회’(연구회)가 어제 10개월 가까이 연구한 ‘대입 선진화 방안’을 발표했다. 2014학년도 수능시험 개편방안, 입학전형 개선방안, 입학사정관 정착방안 등이 그것이다.
지금 중학교 3학년생부터 적용할 수능시험 개편안은 시험 응시 횟수를 연 2회로 늘리고 탐구영역의 시험과목수를 줄이며, 언어·수리·외국어 영역은 난이도가 다른 수준별 시험을 도입하는 것 등을 내용으로 한다. 이런 개편은 개정 교육과정의 취지를 살리고 수험생의 과도한 시험 부담을 완화해 사교육비 경감을 도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연구회 쪽은 밝혔다.
시험 기회를 두차례 부여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만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이다. 그러나 1차 시험 이후 2차 시험에 대비한 단기 과외가 극성을 부릴 수 있다는 우려가 만만찮다. 두 시험의 난이도 조정 문제도 간단치 않다. 1994년 난이도 조정에 실패해 두 차례 시험 보던 제도 자체가 폐기된 전례도 있다. 따라서 난이도를 조정하고 보정할 수 있는 면밀한 장치를 만드는 게 전제가 돼야 한다. 탐구영역의 시험과목수 축소 역시 학생들의 부담을 줄이는 측면이 있는 반면, 국·영·수 위주의 편성을 강화해 교육과정의 파행을 불러올 가능성이 적잖다.
더 큰 문제는 입시안과 함께 발표된 입학전형 개선안에 있다. 먼저 수시전형을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통일하도록 권하고 있는 대목이다. 현재 대학입시에서 60%의 학생들이 수시전형으로 선발된다. 입학사정관제는 도입 초기단계지만 벌써부터 공정성 시비가 나오고 있다. 제도로서 안정성을 담보할 기반조차 갖춰져 있지 않은 상태다. 그럼에도 수시전형을 입학사정관제로 통합한다는 것은 입시제도의 근간을 뒤흔들 수 있는 위험천만한 발상이다. 미국처럼 입학사정관제의 역사가 오랜 나라에서도 사정관제는 명문대학을 중심으로 실시될 뿐 전면적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있는 게 현실이다. 대학과목 선이수제(UP)를 전형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방안 역시 새로운 사교육 수요를 창출할 위험성이 크다.
이런 문제점들 하나하나가 모두 심각한 파장을 불러올 수 있다. 올 10월 마련할 정부안에서는 공교육을 살리고 아이들의 학습 부담과 학부모들의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제대로 된 개혁안을 내놓기 바란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