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8.19 22:29 수정 : 2010.08.19 22:29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는 애초 이번에 지명된 다른 각료 후보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도덕적인 흠결이 많지 않을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이런 예상은 여지없이 빗나갔다. 그를 둘러싼 각종 비리 의혹이 연일 양파껍질 벗기듯이 이어지고 있다. 재산 축소신고, 반값 전세, 극빈자 수준의 생활비, 도청 직원 가사도우미 활용 의혹 등 그 종류도 무척 다양하다. 40대 총리 후보로서 내세웠던 참신하고 깨끗한 이미지와는 전혀 딴판이다.

이런 의혹들은 대부분 진상이 아직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지만, 그중에는 한눈에 봐도 고개를 갸웃거리게 만드는 내용도 적잖다. 김 후보자의 가족들이 지난 몇년간 도시빈민급 생활비 수준으로 너끈히 살아왔다는 주장은 단적인 예다. 김 후보자는 2006년 말 이후 재산이 10배(3억여원) 가까이 늘어난 데 대해 “부동산 가치 증가와 봉급 저축”이라고 해명했다. 그의 해명대로 따져보면 월 700만원 소득 중 545만원을 저축하고 155만원을 생활비로 썼다는 계산이 나온다. 보건복지부가 정한 올해 4인 가족 최저생계비가 133만원이니 김 후보자 가족은 빈민 수준의 극한적 삶을 살아왔다는 얘기밖에 되지 않는다. 국민을 바보로 여기지 않는 이상 이런 어처구니없는 설명을 내놓기 힘들다.

게다가 김 후보자 가족은 지난 4년간 신용카드 사용실적이 거의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돈을 쓸 때는 언제나 흔적이 남지 않는 현금만 사용했다는 얘기다. 보통 사람들과 다른 유별난 행동의 뒤편에는 뭔가 곡절이 있기 마련이다. 출처가 불분명한 생활비 문제까지 고려해보면 김 후보자가 별도의 ‘스폰서’를 두고 뒷돈을 받아오지 않았는가 하는 의문이 당연히 제기될 수밖에 없다. 김 후보자의 주소지로 등록된 아파트의 전세금이 시세의 절반 수준인 8000만원밖에 안 되는 점이나, 도청 직원을 가사도우미로 썼다는 의혹 등도 김 후보자가 명확히 해명해야 할 사안들이다.

김 후보자는 이런 의혹들에 대해 “소설 같은 이야기”라고 일축하지만, 오히려 그의 어설픈 해명이 ‘소설 같은 이야기’로 들리는 대목도 많다. 잘못을 저지른 것보다 더욱 나쁜 것은 잘못을 감추려고 거짓말로 둘러대는 일이다. 국민을 속이려고 해서는 내각을 통할하는 국무총리로서 자격이 없음을 분명히 밝혀둔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