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8.23 20:08 수정 : 2010.08.23 20:08

국가 지도자는 말이 쉽고 분명해야 한다. 그리고 말이 실천에 옮겨져야 한다. 그것이 국민의 신뢰를 받는 기본자세다. 말 따로 행동 따로이거나 필요에 따라 말을 갖다 붙여선 안 된다. 그래서는 그 사람의 진의와 진정성을 의심할 수밖에 없다.

이명박 대통령이 어제 고위 공직자 인선과 관련해 “조금 더 엄격한 인사검증 기준을 만들라”고 참모들에게 지시했다. 그의 발언은 새 내각 후보자들의 불법 행위 전력들이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무더기로 드러난 가운데 나온 것이다. 따라서 기왕의 인사추천 결과에 문제가 있음을 인정한 것으로 해석해도 무방할 터이다. 또한 정부 고위직에 흠결 있는 인사들이 기용될 가능성을 걱정하는 것으로도 보인다. 며칠 전 청와대 관계자는 “조현오 경찰청장 후보자의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관련 및 천안함 유족 비하) 발언 빼고는 언론에 나온 나머지 후보자들 얘기는 검증을 통해 100% 알고 있던 사항”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결국 이 대통령 발언은 사전 인사검증 단계에서 잘못된 기준을 적용하고 있었음을 확인한 것이다.

그렇다면 당장 해야 할 일은 분명하다. 불법·부도덕 행위 전력이 드러난 사람을 물러나게 하고 후보자를 새로 찾으면 된다. 그것이 누구나 공감할 올바른 대안이다. 그런데 청와대는 대통령의 발언은 이번에 문제가 드러난 후보들의 거취와 전혀 무관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참으로 이상한 설명이다. 국민 여론에 귀를 기울이는 시늉은 하되 필요한 조처는 하지 않고 순간만 넘기고 보자는 것 아닌가. 수준 낮은 눈속임이라 해도 할 말이 없을 것이다.

인사권자가 할 일은 문제가 발견되면 바로 바로잡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이 대통령은 “인사 추천을 그때그때 기준에 따라 해서는 안 된다”고도 말했다. 기준은 일관성이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지당한 말이다. 그러나 이를 위해 기준을 새로 만들어야 할 필요는 없다. 한나라당이 전임 정부 시절 고위 공직자 후보를 검증하던 기준을 적용하면 그만이다. 이번 내각 후보자 가운데 여럿이 위장전입, 부동산 투기, 탈세, 논문 표절, 망발 등으로 3관왕, 4관왕을 차지하고 있다. 과거 기준에 따르면 적격자보다 부적격자가 되레 많다. 이 대통령이 말보다 행동으로 진정성을 입증할 때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