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8.27 09:19 수정 : 2010.08.27 09:19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의 거짓말이 또 드러났다. 그는 엊그제까지만 해도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과는 2007년 이후 처음 만났다고 여러 차례 주장했다. 2006년에는 일면식도 없었다는 말도 했다. 그러던 그가 그제 인사청문회에서 박 전 회장과 2006년 10월 골프를 함께 친 물증이 나오자 그때야 말을 바꿔 이를 인정했다. 만난 날짜가 그렇게 중요한지 몰랐다고 얼버무렸지만, 가당찮은 변명이다. 잘못을 숨기려는 것 말고 거짓말을 한 이유가 또 있겠는가.

거짓말은 공직자에게 치명적인 결함이다. 정부와 국가에 대한 신뢰까지 무너뜨리기 때문이다. 국민이 믿지 않는데 정책 집행이건 뭐건 일이 제대로 될 리 없다. 이런 이를 총리로 고집한다면 일을 하려는 게 아니라 국민을 상대로 버티겠다는 꼴이 된다. 총리 지명 철회는 당연하다.

김 후보자의 거짓말은 법적으로도 중대한 문제다. 그가 만난 시점까지 속여가며 박 전 회장과 친한 관계가 아니라고 주장한 것은 ‘2007년 4월 박 전 회장의 돈 수만달러를 받았다’는 혐의를 부인하기 위한 것이겠다. 이번 거짓말로 그런 주장은 믿기 어렵게 됐다. 다른 거짓도 의심된다. 그는 2006년 6월과 8월 박 전 회장의 신발공장이 있는 베트남 동나이성을 방문했지만 박 전 회장을 만나진 않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경남지사가 같은 경남 출신으로 베트남에 진출한 대표적인 한국 기업인을 만나지 않았다는 게 더 어색하다. 의심할 일은 이것 말고도 많다.

그런데도 검찰은 김 후보자를 무혐의 처리했다. 김 후보자에게 돈을 전달했다는 미국 뉴욕의 한인식당 여종업원과는 전화통화만 한 뒤 그런 결정을 내렸다니, 제대로 된 조사는 아예 없었던 셈이다. 참고인 소재 파악도 하지 않았다니 수사 의지도 의심된다. 비슷한 때인 2006년 8월 베트남을 방문한 이광재 전 의원에 대한 적극적인 수사 태도와는 확연히 다르다. 실제로 김 후보자는 베트남 방문이나 골프회동 등에 대해 검찰로부터 아무런 신문도 받지 않았다고 청문회에서 밝혔다. ‘봐주기 수사’라고 볼 수밖에 없다.

검찰은 지금이라도 김 후보자의 뇌물수수 혐의 수사를 재개해야 한다. 의심할 만한 점을 발견하고서도 수사를 접은 이유도 밝혀야 한다. 수사 대상인 김 후보자가 총리가 될 수 없다는 점은 더 말할 나위도 없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