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8.27 20:27 수정 : 2010.08.27 20:27

김태호 국무총리 후보자의 임명동의안 처리를 위한 국회 본회의가 어제 여야 합의로 새달 1일로 연기됐다. 여권으로선 일단 시간을 벌어놓은 셈이지만 사안의 본질은 바뀐 게 없다.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확인된 김 후보자의 각종 도덕적 결함과 법 위반 행위에 대한 국민적 분노도 달라질 리 없다. 청와대와 한나라당은 안이한 판단을 하거나 요행수를 기대하지 말기 바란다.

김태호 후보자의 총리 인준 문제는 결코 정치적 흥정의 대상이 될 수 없다. 한나라당은 야당이 총리 인준에 응해주면 그 대가로 장관급 후보자 몇몇을 교체할 수도 있다는 뜻을 전달했다고 한다. 일국의 총리 인준을 저잣거리에서 물건 사고팔듯 흥정하려는 모습이 한심하기만 하다. 정치권이 담합을 통해 임명동의안을 어물쩍 처리했다가는 여당은 물론 야당도 여론의 호된 질책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한나라당은 월등한 국회 의석수를 앞세워 인준동의안을 단독처리하고 싶은 유혹도 느낄지 모르겠다. 하지만 여권이 지금 기억해야 할 숫자는 국회 의석수가 아니다. 한 여론조사기관이 실시한 국민 여론조사 결과를 보면, 김 총리 후보자의 국회 인준에 반대하는 의견이 54.4%에 이르는 반면 찬성 의견은 21.1%에 그쳤다. 민심의 지표를 주목해야 하는 것이다. 눈높이를 여기에 맞춘다면 김 후보자의 총리 인준 여부에 대한 답은 자명해진다. 김 후보자뿐 아니라 신재민·이재훈·조현오 등 이미 인사청문회 과정을 통해 부적격자로 판명이 난 다른 장관 후보자들의 임명 여부도 마찬가지다.

이명박 대통령은 어제 “공정한 사회를 위해서는 실천이 가장 중요하다. 청와대가 그 출발점이자 중심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옳은 말이다. 말 그대로 지금은 ‘실천’이 가장 중요한 때다. 잘못된 인사 하나 제대로 정리하지 않으면서 공정한 사회니 실천이니 하는 것은 시정의 웃음거리만 될 뿐이다. 지명 당사자인 대통령이 잘못을 바로잡아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