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09.23 22:16 수정 : 2010.09.23 22:16

추석 연휴 첫날인 지난 21일 300㎜ 가까운 집중호우가 쏟아지면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일대가 아수라장이 됐다. 저지대 곳곳이 물에 잠기고 서울 한복판인 광화문 일대가 물바다를 이루었다. 1000만명이 몰려 사는 수도 서울의 모습이라고는 도저히 믿기지 않을 정도였다. 아무리 100년 만의 기습 폭우라고 하지만 기상청의 엉터리 예보와 당국의 늑장 대응이 피해를 키웠다. 자연재난 대비 시스템이 이렇게 취약해서야 어떻게 나라를 믿고 살 수 있겠는가.

주민들이 이번 집중호우에 손 놓고 당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기상청의 빗나간 예보 탓이 크다. 기상청은 21일 중부지방에 30~80㎜의 비가 내릴 것으로 예보했다. 그 정도의 비라면 그리 걱정할 만한 양이 아니었다. 하지만 실제 내린 강수량은 최고 300㎜에 이른 엄청난 양이었다. 국지성 집중호우의 강수량을 정확히 예측하기가 아무리 어렵다고 하더라도 그 편차가 너무 컸다. 강수량 예측이 왜 이렇게 빗나갔는지에 대한 정확한 원인부터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와 서울시를 비롯한 지방자치단체의 늑장 대응은 더 문제였다. 재난대책본부가 서울시 등에 전직원 비상근무 동원령을 내린 것은 21일 오후 4시30분이었다. 그때는 이미 도심 곳곳이 물에 잠기고 교통이 마비되는 등 아수라장이 된 뒤였다. 당국의 대응이 이렇게 늦은 것은 추석 연휴로 근무자가 적었던 탓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취약시간에 더 제대로 작동해야 빛을 발하는 게 재난 대비 시스템이다.

서울시는 어제 시간당 95㎜의 비에 견딜 수 있도록 빗물펌프장의 처리 용량을 늘리겠다고 했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하다. 이상 기후로 인한 기상 이변이 속출하는 상황에서 기존의 기상 기록만을 토대로 한 재난대책은 이제 무의미해졌다. 도심의 하수 처리 용량 확대나 저류지 증설 등 종합적이고 근본적인 대책을 강구해야 할 때다.

당장 시급한 것은 피해 복구다. 이번에 수해를 입은 사람 중에는 상습침수지역인 저지대의 반지하 주택에 사는 서민들이 적잖다. 추석 대목을 보려던 상인과 중소기업의 피해도 컸다. 침수 피해 가구당 100만원의 재난지원금을 준다고 하는데 턱없이 부족하다. 이들이 정상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최대한 지원해야 할 것이다. 자연재해에도 경제적 약자들만 더 손해 보게 해서는 안 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