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05.06.22 19:48 수정 : 2005.06.22 19:48

윤광웅 국방부 장관이 어제 사의를 밝혔다. 총기난사 사건이 몰고온 파장에 비춰 지휘책임을 지는 것은 당연하다. 대통령은 사건이 수습되는 대로 사표를 수리하는 것이 마땅하다.

윤 장관의 잘못은 단순히 이번 사건을 막지 못한 데 있지만은 않다. 사건 조사 과정에서 보여준 군의 자세는 또한번 국민의 신뢰를 크게 떨어뜨렸다. 이 또한 윤 장관이 책임져야 할 몫이다. 조사할 시간이 충분하지 않았다고 해도, 군 당국이 발표한 사건 경위에는 처음부터 납득하기 어려운 점이 많았다. 사건이 일어난 날 병사들이 축구 경기 중계방송을 본 사실도 뒤늦게 밝혀졌다. 기본적으로 조사할 내용이고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었다. 의도적으로 감춘 것 아니냐는 의심을 살 수밖에 없다.

유독 한 병사에게 수류탄 피해가 집중된 점도 처음엔 공개되지 않았다. 경계근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배경 등은 지금도 잘 설명되지 않는다. 의문은 오해에서 비롯되기도 하지만, 의문점을 잘 설명하지 못하면 의혹으로 번지기 쉬운 법이다. 군은 의혹이 커진 뒤에야 언론의 현장취재를 허용하는 등 닫힌 모습을 보여 불신을 자초했다. 군의 특성상 보안을 중시해야 하는 사정은 충분히 이해한다. 그러나 미흡한 초기 조사 발표는 기강해이에 따른 문책을 피하려는 의도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번 사건은 국민에게 큰 충격을 줬다. 보안상 꼭 필요한 부분이 아니면 모든 사실을 있는 그대로 공개해야 한다. 늦게나마 국방부가 수사본부를 꾸려, 국가인권위원회 위원과 유가족 대표에게 참관을 허용한 것은 잘한 일이다. 조사결과를 완전히 공개하겠다는 약속도 했다. 수습과 대책마련 과정에서라도 군이 국민을 위해 존재한다는 사실을 실천으로 보여 신뢰를 쌓기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