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10.21 20:10 수정 : 2010.10.21 20:10

친환경 교통수단에 대한 관심과 더불어 자전거의 인기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환경 피해가 거의 없고 건강에도 좋기로는 어떤 교통수단도 자전거를 따르지 못한다. 자전거는 도시 생활에 만연한 ‘빨리빨리 증후군’에서 벗어나 여유를 찾게 해주는 구실도 한다. 그래서인지 이제 자전거 타기는 일부 애호가들의 취미 수준을 넘어섰다. 자전거를 출퇴근용으로 꾸준히 이용하는 이들도 꽤 많다. 정부도 자전거도로 확대를 통해 이런 열기에 호응하고 있다. 이래저래 자전거의 몸값이 치솟는 상황이다.

하지만 자전거 열풍에 취해 모두 소홀히 여기는 것이 있다. 자전거 교통사고와 이에 따른 인명 피해가 그것이다. 어제 교통안전공단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공개된 자료를 보면, 지난해 자전거 교통사고로 숨진 사람이 343명이다.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5838명과는 비교되지 않지만 결코 무시할 수 없는 규모다. 게다가 교통사고 사망자가 차츰 주는 반면 자전거 사고 사망자는 조금씩 늘고 있다.

도시에서 자전거 타기가 얼마나 위험한지는 직접 겪어본 이라면 누구나 절감하는 바다. 많은 지자체가 자전거도로 신설·확대에 나서고 있지만 안전 확보는 등한시하고 있다. 인도를 자전거도로 겸용으로 급조하면서 걷는 사람과 자전거가 뒤섞이기도 한다. 애써 만든 자전거 전용도로도 갑자기 끊기거나 자동차도로와 엉키는 통에 자동차 사이를 곡예하듯 헤치고 지나가야 하는 일도 비일비재하다. 일반 도로에서는 거의 목숨 걸고 자전거를 타야 한다. 이래서는 자전거가 대안 교통수단으로 자리를 잡기는커녕 보행자나 자동차까지 함께 위험에 빠뜨리는 교란 요인이 되고 말 것이다.

자전거 사고의 위험을 높이는 또다른 요인은 자전거 이용자들의 안전의식 부족이다. 일부 자전거 속도광들의 곡예성 주행, 안전모 같은 최소한의 보호장치도 없이 거리로 나서는 무모함이 대표적이다. 자전거 안전 교육에 대한 관심 부족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자전거만큼 뛰어난 친환경 대안 교통수단은 별로 없다. 하지만 기반시설과 안전의식이 뒤따르지 않는다면 또하나의 ‘자해행위’로 전락할 수 있다. 정부는 ‘4대강 자전거도로’ 같은 엉뚱한 일 대신 안전대책에 힘을 쏟기 바란다. 그럴 생각이 없다면, 녹색정부 표방을 위한 자전거 타기 캠페인은 중단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