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11.02 20:15 수정 : 2010.11.02 20:15

언론계에서는 결코 있어서는 안 되는 충격적인 일이 벌어졌다. 삼성 직원이 컴퓨터로 <문화방송>(MBC) 내부 정보망인 ‘뉴스시스템’에 접속해 각종 취재 정보와 뉴스 기획 등을 훔쳐본 것이다. 삼성 쪽에서는 직원이 개인적으로 한 일이라고 하지만 그 말을 그대로 믿을 사람은 별로 없다. 정확한 진상을 가려 관련자를 엄중 문책하고, 더는 이런 파렴치하고 반언론적인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먼저 삼성이 자체 조사를 벌여 그 진상을 낱낱이 공개해야 한다. 문화방송 자체 감사 결과, 삼성 쪽 컴퓨터가 지속적으로 문화방송 뉴스시스템에 접속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한다. 뉴스시스템에 접속한 삼성 직원의 신원도 확인된 상태다. 그렇다면 사건의 진상을 파악하는 건 어렵지 않다. 삼성이 이 직원의 컴퓨터 기록을 조사하면 언제부터 얼마나 자주 문화방송 뉴스시스템에 접속했는지는 바로 알 수 있다. 삼성이 회사 차원에서 한 일이 아니라고 한다면, 직원의 접속 기록을 굳이 감출 이유가 없다. 의혹이 더 커지기 전에 사건의 진상을 정확히 공개하고 사과해야 한다.

삼성 직원이 취득한 정보가 삼성 내부에서 어떻게 유통됐는지도 철저히 가려야 한다. 그 직원이 취득한 정보가 그룹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유통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문화방송에서는 몇 달 전 삼성 비판 프로그램 내용을 내부 정보망에 올린 뒤 곧바로 삼성 쪽의 전화를 받은 일이 있었다고 한다. 삼성 직원이 취득한 정보를 윗선에 보고하지 않았다면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더욱이 이 직원은 문화방송 기자 출신으로 삼성 계열사의 기획·홍보 담당 부서에 근무하고 있다. 그룹 차원에서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셈이다.

언론계 차원의 공동 대응도 필요하다. 언론의 생명인 취재 정보가 외부로 유출되면 언론의 독립성 자체가 위태롭게 된다. 그동안 몇몇 언론사의 내부 정보가 통째로 외부로 유출됐다는 소문이 간간이 나돌았지만 진상이 가려지지 않은 채 흐지부지되곤 했다. 정보 유출에 대한 언론사의 무감각이 이번과 같은 사태를 불러온 측면도 있다. 언론노조와 기자협회 등이 공동으로 취재 정보의 외부 유출 실태를 조사해 방지 대책을 마련하는 것도 고려해볼 만하다. 이번 일에 대한 공동 진상조사가 그 첫 작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