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11.24 08:20 수정 : 2010.11.24 08:20

고려대는 현직 대통령을 비롯해 각계각층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인물들을 많이 배출한 이른바 명문사학이다. 많은 학생의 선망을 받는 터라 이 대학 입시제도는 중등교육에 큰 영향을 끼친다.

하지만 입시와 관련된 고려대의 행태는 전혀 명문사학답지 못하다. 앞서 고교등급제를 몰래 운용한 사실이 재판에서 인정돼 지탄의 대상이 된 것도 모자라 이번에는 입학사정관제 전형에서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의 공통기준을 위배했다. 대교협은 올해 3년째 시행되고 있는 입학사정관 전형이 새로운 사교육 수요를 불러일으키고 있는 점을 고려해 지난해 전형 내용을 “학교 교육 과정에서 학습·체험할 수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구성해야 한다”는 공통기준을 마련했다. 교육과학기술부도 입학사정관제 운영 지원대학을 선정하면서 토익·토플 및 교외 수상 실적 등 사교육 유발 요소는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제외하고, 사교육 유발 요인이 있는 전형은 재정지원 대상에서 제외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고려대는 2011학년도 수시1차 세계선도인재 전형을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운영하면서 이 기준을 무시한 채 토익·토플 등 공인 외국어성적과 수상 증빙을 제출하도록 요구했다. 그 결과 외고 출신이 이 전형 인문계 합격자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고 권영길 민주노동당 의원실은 분석했다. 공인 외국어성적이 당락을 가른 결정적 요소였다니 입학사정관은 장식에 지나지 않은 셈이다.

고려대는 이래 놓고도 입학사정관 전형 선도대학으로 국고지원까지 받았다. 교과부는 즉각 지원취소 등 응분의 조처를 내려야 한다. 고려대의 기준 위반을 눈감고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인정해준 대교협 역시 책임을 면하기 어렵다. 대교협은 입학사정관 전형에 쏟아붓는 국민의 혈세를 나눠먹는 데 급급해 제대로 된 감시를 하지 않았다. 아울러 이제라도 입학사정관 전형에 대한 전면적인 실사와 재검토를 해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