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12.08 18:26 수정 : 2010.12.09 08:19

최근 타결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이 일방적인 양보라는 비판이 거듭되자 정부와 여당이 안보동맹 강화론을 들고 나오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경제와 함께 철저한 안보라는 측면에서 가치가 어느 나라와도 비교할 수 없다”고 말했다. 안상수 한나라당 대표도 “안보협력 증진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정부 역시 ‘한-미 동맹을 도약시키는 계기’라는 논리를 전파하는 데 여념이 없다.

정부와 여당의 이런 태도는 국민을 현혹하려는 꼼수일 뿐이다. 한-미 자유무역협정은 상호 이익을 추구하기 위한 쌍무 무역협상일 뿐 안보동맹과 아무런 관련이 없다. 이를 평가하고 비준하는 과정도 얼마나 국익에 도움이 되느냐를 기준으로 해야 한다. 수많은 국민의 생계와 일자리가 달린 문제다. 근거 없는 안보 논리로 어물쩍 넘어가려는 행태는 결코 용납될 수 없다. 정부 논리대로 하자면 안보를 위해 쇠고기 수입도 양보해야 하고, 자동차 시장도 더 열어야 한다. 미국 상품이 우리나라 시장을 휩쓸어야 안보동맹이 더 강화된다는 식이기 때문이다. 정부가 이런 한심한 발상으로 한-미 에프티에이를 추진해왔다는 사실이 새삼 놀랍다.

국회 비준 동의 절차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정부는 명분을 내주고 실리를 챙겼다고 주장하지만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돼지고기와 의약 분야 이행을 2~3년 늦춘 것은 아무런 이익이 되지 않는다. 미국에 자동차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처)를 양보한 것만으로도 그 몇배의 이익을 내줬다. 국회는 한-미 자유무역협정이 국익에 도움이 되는 것인지 여부를 원점에서부터 다시 검토해야 한다. 비준 동의 방식도 마찬가지다. 많은 법률안 개정을 수반하는 협정이다. 따라서 추가합의서와 같은 변칙으로는 안 된다. 정부는 기존 협정문을 수정해 정식으로 다시 비준 동의를 요청해야 한다. 정부는 안보를 내세워 국민을 현혹하고 추가합의서라는 변칙으로 협정을 처리하려는 잘못된 태도에서 하루빨리 벗어나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