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12.16 20:54 수정 : 2010.12.16 20:54

‘추적 60분’ 검열에 이어 노조원 징계에 착수하는 등 <한국방송> 경영진의 폭주가 심해지고 있다. 경영진은 한차례 방송이 보류됐던 4대강 사업 관련 추적 60분 프로그램을 그제도 내보내지 않았다. 지난주엔 4대강 관련 재판에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는 걸 보류 이유로 내세우더니, 이번엔 내용이 편향돼 방송하지 않았다고 말을 바꿨다.

경영진은 추적 60분 프로그램에 등장하는 인물 가운데 4대강 사업 비판 인사들이 훨씬 많다는 것 등을 편향성의 근거로 꼽았다. 이런 주장의 허무맹랑함은 자체적인 사전심의 결과가 고스란히 입증한다. 한국방송 심의실은 이 프로그램이 정상 방송될 것을 전제로 심의를 한 결과 문제가 없다는 의견을 이미 내놨다. 심의실은 국토해양부와 경남도의 사업권 회수 논란 부분이 “객관성, 공정성, 균형성을 유지했다”고 평가했다. 또 불법폐기물 문제, 본류 준설에 따른 지류 홍수 피해 등에 대해서 지적한 것은 의미있는 것이라고 후한 점수를 줬다.

이렇듯 심의실은 높게 평가했지만 경영진은 어떤 인물이 몇번 등장하는지까지 따져가면서 프로그램을 헐뜯었다. 시사 고발 프로그램에 기계적인 중립을 요구하는 것도 우습지만, 더 한심한 것은 정부의 각종 사업 홍보에 열을 올려 관제방송 소리를 자초한 경영진의 치졸한 이중 잣대다. 경영진이 정말 기계적 중립을 중요한 기준으로 생각한다면 당장 1텔레비전 9시 뉴스 등장 인물들을 헤아려 볼 일이다. 추적 60분에 요구하는 기계적 중립을 똑같이 적용한다면 매일 뉴스 시간을 채우기도 버거울 것이다.

최소한의 비판적인 목소리마저 차단하려 온갖 궤변을 늘어놓는 경영진의 무리수는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추적 60분 방송 보류에 대해 새 노조가 크게 반발하는 와중에 조합원 60여명을 징계위에 회부했다. 단체협상이 마무리돼 지난 7월 파업과 관련한 징계 절차에 착수했다는 게 회사 쪽 설명이지만, 노조는 ‘추적 60분 관련 청와대 외압설 제기에 대한 보복’이라고 반발하고 있다. 시기 등을 고려할 때 이런 주장은 일리가 있다. 프로듀서들도 ‘추적 60분 살리기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집단적 대응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김인규 사장을 비롯한 경영진은 이제라도 이성을 되찾기 바란다. 그리고 한국방송을 진정으로 살리는 결단이 뭔지 최소한의 고민이라도 해야 할 것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