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0.12.27 20:44 수정 : 2010.12.27 20:44

청와대에서 곧 있을 개각을 앞두고 후보자들을 물색하고 검증하는 작업이 한창이라고 한다. 개각 대상이라는 감사원장과 국민권익위원장은 몇달째 자리가 비어 있는 상태이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지식경제부 장관도 애초 바꾸기로 했다가 이런저런 흠으로 후보자가 사퇴하는 바람에 넉달째 전임자의 유임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 개각이 더 미룰 수 없는 문제가 된 지는 이미 오래다. 국가기관에 대한 인사를 이렇게 오래 방치하고 미적댄 대통령은 없었다. 무책임과 무소신을 나무라지 않을 수 없다.

이왕 개각을 한다면 직무에 적합하고 제대로 일할 사람을 뽑아야 할 것이다. 하지만 지금 청와대 안팎에서 거론되는 후보자들의 면면을 보면 실망스럽기 그지없다. 바로 직전 인사에서 문책성으로 경질된 대통령의 측근 심복들이 반년도 안 돼 유력한 후보로 이름이 오르내린다. 지난 대통령선거 때 선거 사조직을 이끈 것 말고는 뚜렷한 공적 기여가 없는 이가 이런저런 장관급 자리에 거론되는가 하면, 검찰 요직을 특정 지역 출신으로 채우거나 검찰의 권력 예속에 앞장선 인물이 다른 누구보다 엄정하고 중립적이어야 할 감사원장 후보로 꼽힌다. 거명되는 이들 대부분이 이 대통령의 선거캠프 출신이거나 대통령직 인수위, 청와대 참모진에 있던 사람들이다. 이대로 인사가 이뤄진다면 대통령이 또다시 공직을 사유화하는 꼴이 된다. 측근 챙기기라거나 회전문 인사라는 손가락질을 피하기 어렵다.

이런 개각이라면 하나 마나다. 반발과 비판 때문에 민심을 추스를 수도, 주어진 일을 제대로 할 수도 없다. 청와대는 지금이라도 발상을 바꿔야 한다. 대통령의 뜻만 잘 받드는 게 일을 잘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쓰기 편하다고 측근이나 과거 공신들만 중용하려 든다면 자기들끼리의 자리다툼만 부추길 뿐이다. 이미 그런 조짐도 있다. 대통령이 어떻게든 측근을 쓰겠다고 여론과 대치하는 꼴을 거듭하다간 지금보다 더한 갈등을 빚을 수 있다.

제대로 일할 사람을 뽑자면 대통령 주변의 좁은 울타리 안에서만 사람을 찾을 게 아니다. 정치적 반대세력이나 전 정권 출신을 가리지 말아야 한다. 제구실은커녕 퇴행만 일삼는 인권위원장 등 과거의 잘못된 인사도 이번 기회에 바로잡는 게 옳다. 이번에도 똑같은 잘못을 저지르지 말기를 기대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