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1.02 21:55 수정 : 2011.01.02 21:55

이명박 대통령이 지난해 마지막날 깜짝 발표한 12·31 개각의 특징은 대통령 직계 인사들의 전면배치다. 김영란 전 대법관의 국민권익위원장 기용 정도가 그런대로 참신하다는 느낌이 들 뿐 인사의 전체 기조는 철저히 친정체제 구축에 방점이 찍혀 있다. 남이야 뭐라 하건 내 갈 길을 가겠다는 이 대통령의 고집이 진하게 묻어난다.

이 대통령의 자기 사람 심기에는 기관의 독립성 보장도, ‘형님 권력’을 둘러싼 논란도, 해당 인사의 과거 직무수행상 문제도 전혀 거리낄 게 없었다. 권력으로부터의 독립성과 가장 엄정한 도덕성이 요구되는 감사원장 자리에는 청와대 참모 출신에다 총리실 불법 민간인 사찰 책임에서 자유롭지 않은 정동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기용됐다. 대통령 발언 ‘마사지’ 등으로 숱한 물의를 빚은 이동관 전 청와대 홍보수석도 다시 ‘상근 언론특보’라는 날개를 달고 복귀했다. 뉴라이트 핵심 인물이 통일 문제를 다루는 주무비서관(김영호 성신여대 교수)에 발탁되는가 하면, 국민권익위원회 부위원장에는 ‘형님 측근’으로 분류되는 김대식 전 민주평통 사무처장이 기용됨으로써 영포라인이 여전히 건재함을 과시했다.

이 대통령의 이번 개각은 고른 인재 등용, 화합과 소통을 위한 인사 등의 국민적 요구가 결국 임기 끝까지 메아리 없는 호소에 끝날 것임을 보여준다. 측근들을 이리저리 돌려막는 회전문 인사, 끼리끼리 인사의 난맥상이 이제는 정점에 달한 모습이다. 실제로 이번 개각을 통해 완성된 현 정부 진용을 보면 마치 대선캠프를 방불케 한다.

이 대통령의 이런 폐쇄적인 인사는 집권 후반기 권력누수에 대한 불안감, 국정 주도권에 대한 집착의 결과로 여겨진다. 하지만 그 폐해는 막중하다. 대통령 주변에 오직 충성발언을 일삼는 ‘예스맨’들만 득실거리는 것은 국민뿐 아니라 정권에도 불행이 아닐 수 없다. 권력을 에워싼 ‘인의 장막’은 가뜩이나 민심에 귀막은 대통령을 더욱 귀머거리로 만들어 소통 부재를 더욱 심화시킬 것도 불을 보듯 뻔하다.

이번에 기용된 몇몇 인사들에 대해선 대통령과 운명을 함께하는 ‘순장파’라는 이야기까지 나온다. 하지만 함께 묻히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대통령도 살고 국민도 사는 것이다. 인사의 옳은 길이 훤히 보이는데도 자꾸 거꾸로만 가는 것 같아 안타깝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