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구제역 통제불능, 어쩌다 이 지경까지 왔나 |
구제역 사태가 통제불능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구제역이 국토 전역으로 퍼져나가 동시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매몰된 가축만 90만마리에 육박한다. 백신접종을 계속하지만 인력과 백신 부족으로 효율적인 접종이 되지 않는데다 접종 뒤 감염되는 사례도 잇따르고 있다. 몇몇 지역에선 가축이 대량으로 매몰된 지역에서 피가 흘러넘쳐 주변 지역을 오염시키는 일까지 벌어지고 있다. 그야말로 총체적인 난국이다.
무엇보다 정부가 확실한 목표와 방향을 갖고 방역활동을 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현재 정부가 수행하는 방역활동은 이동제한, 소독, 살처분, 백신접종 등 4가지다. 그러나 감염된 소·돼지가 급증하면서 이런 전통적인 방법의 방역이 어려워지고 있다. 당장 장비와 인력이 크게 부족한 상태다. 예를 들어 백신접종이나 살처분에 참여한 방역원은 일정 기간 격리돼 있어야 하는데도, 인력이 절대 부족한 상황이라 이런 원칙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
살처분도 핏물이 새나오지 않도록 하나하나 꼼꼼히 처리해야 한다. 하지만 감염된 돼지가 급증하면서 주변 지역을 오염시키는 사태가 빚어지고 있다. 이럴 경우 야생 돼지 등을 통해 구제역이 전국으로 퍼져나가게 될지도 모른다. 체계적이고 치밀하게 방역이 이뤄지지 않다 보니 곳곳에 구멍이 뚫린 모양새다. 심지어 구제역에 걸린 돼지가 도축돼 시중에 유통되기도 했다.
사태가 이 지경까지 온 것은 기존 대응 방식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제라도 기존 방역활동에 대한 치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이번 구제역은 초동대응이 늦은 것도 문제였지만 이후 안이한 대응으로 집중적인 방역이 이뤄지지 않아 사태를 더 키웠다. 단 한명의 사람이라도 방역망에서 빠져나가면 수백~수천 마리의 가축이 전염될 수 있다. 물량 투입을 늘리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라 모든 방역이 허점 없이 이뤄져야 한다.
특히 인력 동원에 신중해야 한다. 이번 사태에는 축산 관계자들의 움직임도 주요 원인을 제공했다. 정부가 인력 보충을 위해 수의과 대학생과 축산농민을 백신접종에 동원하기로 했지만 잘못하면 이들을 매개로 구제역이 더 확산될 가능성도 있다. 구제역은 이미 전국으로 퍼진 상태다. 터져나오는 상황을 막는 데 급급하기보다는 지금까지의 잘못을 반복하지 않도록 새롭게 대책을 수립해야 할 때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