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1.07 21:41 수정 : 2011.01.07 21:41

새해 들어 한반도·동북아 긴장을 누그러뜨리고 관련 사안을 평화적으로 풀려는 노력이 활발해지고 있다. 스티븐 보즈워스 미국 대북정책 특별대표의 한국·중국·일본 순방이 대표적이다. 그는 중국 방문에서 미국의 대북정책 기조에 변화가 있음을 내비쳤다고 <뉴욕 타임스>가 전했다. 북한도 엊그제 ‘정부·정당·단체 연합성명’을 통해 상호비방 중지와 무조건적인 남북 당국간 회담을 제안했다. 하지만 우리 정부는 북쪽의 진정성 및 책임성 부족을 이유로 여전히 대북 대화에 소극적이다.

6자회담을 재개하려면 남북대화가 선행돼야 한다는 한국·미국·일본의 입장은 타당성이 있다. 6자회담과 남북관계가 꼭 함께 진전돼야 하는 건 아니지만, 한반도 긴장이 높아지면 6자회담이 재개되더라도 순조롭게 진행되기 어렵다. 연평도 포격과 천안함 사건을 겪은 지금 상황에서는 더 그렇다. 따라서 어떤 식으로든 두 사건을 마무리하고 남북관계를 안정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북쪽의 진정성이 요구되는 까닭이다. 북쪽은 적어도 경위가 분명한 연평도 도발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사과하고 비슷한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약속해야 할 것이다. 그래야 핵 협상 요구 등 다른 제안에 대한 신뢰성도 높아진다.

하지만 북쪽의 진정성 문제가 남북대화를 하지 않을 이유가 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지금처럼 상호불신이 심한 상태에서는, 대화와 합의 이행을 통해서만 진정성을 담보할 수 있다. 북쪽의 굴복을 기다리며 압박에 매달리는 이제까지의 정책 기조를 이어가서는 한반도·동북아 정세가 더 나빠질 것이 확실하다. 중국·러시아뿐만 아니라 미국도 이런 사정을 잘 알기에 대화 분위기를 만들려고 애쓴다. 심지어 일본까지도 대북 직접대화 가능성을 언급하기 시작했다. 우리 정부가 어떤 태도를 보이느냐에 따라 정세가 크게 달라질 수 있는 상황이다.

남북 사이 책임 있는 대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가 먼저 고위급 회담을 제안하는 것이 한 방법이다. 북쪽이 “민족의 중대사와 관련한 모든 문제들을 협의·해결”하자고 한 만큼, 폭넓게 의제를 다루면 된다. 과거 경험을 봐도 남북관계는 고위급 접촉을 통해서만 풀린다. 국민도 이를 지지한다. 최근 <한겨레> 여론조사를 보더라도, 응답자의 78.4%가 ‘한반도 긴장 완화를 위한 남북정상회담 추진’에 공감했다. 정부의 결단이 필요한 때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