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1.11 21:05 수정 : 2011.01.11 21:05

정동기 감사원장 후보자에 대한 한나라당의 부적격 판정 이후 청와대가 보이는 모습을 보면 아직도 민심이 어디에 있는지를 까맣게 모르는 것 같다. 대통령의 인사권에 제동이 걸린 데 대한 불쾌감만 역력할 뿐 사안의 본질인 인사난맥상에 대한 성찰과 반성의 기색은 엿보이지 않는다.

지금 청와대가 처한 상황은 당에 대한 울분이나 토로하고 있을 만큼 한가롭지 않아 보인다. 이번 사태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정권의 남은 운명이 크게 달라질 수 있는 중대한 기로에 서 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만약 이 대통령이 ‘여기서 밀리면 끝장’이라든가 ‘구겨진 체면을 되찾겠다’고 나선다면 번지수를 잘못 찾은 것이다. 더욱이 한나라당의 ‘반란’을 대통령에 대한 중대한 도전으로 간주해 여당 손보기에 나선다면 상황은 더욱 걷잡을 수 없게 된다. 오히려 이번 사태를 좁게는 인사의 환골탈태, 넓게는 당-청 관계를 비롯한 국정운영 방식의 전면적인 개선의 계기로 삼지 않으면 안 된다.

우선 거듭된 인사실패의 근본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를 치밀하게 복기해보기 바란다. 겉으로 보여주기 위한 인사시스템 개선 노력 따위를 말하는 게 아니다. 청와대 인사가 아래에서 위로 올려 재가를 받는 방식인지, 아니면 대통령이 지목하면 검증은 단순한 형식적 절차에 불과한 것인지부터 따져봐야 한다. 인사 문제를 놓고 대통령과 참모들 사이에 의사소통이 안된다면 근본 원인이 무엇인지도 찾아내야 한다. 여당 한쪽에서 지적하는 것처럼 정동기 후보 인선이 임태희 청와대 비서실장의 ‘고교 선배 챙기기’와 관련이 있는지도 명백히 규명돼야 할 대목이다. 그 결과에 따라 보좌진 중에서 책임이 드러난 사람은 엄격히 책임을 물어야 한다.

근본적으로는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 방식이 소통형으로 바뀌지 않으면 여당내 갈등과 불협화음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 사실 한나라당의 이번 반란은 곪을 대로 곪은 상처가 터져나온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국회 날치기 통과에 거수기로 동원되고, 자격미달 공직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도우미 노릇이나 해오면서 쌓인 위기의식의 발로다. 청와대는 이제 무조건 ‘나를 따르라’는 식의 일방통행식 당-청 관계가 한계에 봉착했음을 알아야 한다. 여권 내부에서조차 기본적인 소통을 못하면서 국민을 향해 소통에 문제없다고 외치는 것부터 우습기 짝이 없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