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1.19 21:22 수정 : 2011.01.19 21:22

방송의 정권 눈치보기 행태가 지상파에 이어 케이블방송에서도 말썽이 되고 있다. 뉴스 전문 채널 <와이티엔>(YTN) 경영진은 최근 얼토당토않은 이유로 박원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 인터뷰의 방송을 보류하라고 지시했다. 그가 보수단체 대표로부터 고발당했다는 게 겉으로 내세운 이유다. 아직 혐의가 확정되지 않았고 수사도 시작되지 않은 단계인데 고발당했다는 이유만으로 방송을 내보내지 말라는 것이다. 도대체 상식이 있는 건지 의심스럽다.

경영진의 이런 몰상식한 지시는 ‘방송 금지 대상자 명단’(블랙리스트) 논란을 자초했다. 노조 공정방송추진위원회는 그제 성명을 내어 ‘와이티엔판 블랙리스트 의혹’을 제기했다. 노조의 주장을 들어보면 이는 단순한 의혹이 아닌 듯하다.

노조는 매주 금요일 방송되는 ‘정애숙의 공감 인터뷰’를 위해 박 상임이사를 섭외한 직후부터 회사의 간섭이 시작됐다고 밝혔다. 섭외 사실이 알려지자 왜 섭외했느냐는 지적이 ‘윗선’에서 나왔고, 우여곡절 끝에 정치적인 질문을 피하는 조건으로 촬영에 들어갔다고 한다. 그리고 편집에 들어갈 때쯤 갑자기 방송 보류 지시가 내려왔다는 게 노조의 설명이다. 박 상임이사가 예산 날치기 과정에서 결식아동 지원 예산이 날아간 걸 비판하며 결식아동 돕기 운동을 벌이는 게 진짜 이유가 아니냐는 게 노조의 분석이다.

노조는 비슷한 간섭이 그전에도 있었다고 폭로했다. 가수 윤도현씨는 ‘노사모’ 가입 전력을 이유로, 방송인 김제동씨는 “나중에 정치할 사람”이라는 이유로 섭외가 좌절됐다고 한다. 심지어 김영란 전 대법관에 대해서는 퇴임한 사람을 왜 출연시키려느냐는 지적이 나왔다고 노조는 주장했다. 이쯤 되면 “도대체 누구를 섭외하라는 말인가”라는 노조의 분노 어린 항의에 공감하지 않을 수 없다. 블랙리스트 의혹은 당연하다. 기피 대상자 명단은 꼭 문서로 정리돼 제작진에게 전달돼야만 힘을 발휘하는 게 아니다. 세부 명단 없이 구두 지시 등으로 개입할 때 도리어 더 효과적이고 뒤탈도 적다. 와이티엔 경영진도 이를 잘 아는 것 같다.

정권보다 시청자가 더 무서운 존재라는 걸 와이티엔 경영진이 안다면 박원순 변호사 인터뷰를 예정대로 내보내야 한다. 노조가 폭로한 과거 사례에 대해서도 분명히 해명하고 책임져야 한다. 그러지 않으면 시청자의 정당한 응징을 피하지 못할 것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