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1.24 08:52 수정 : 2011.01.24 08:52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내년 총선을 앞두고 공천개혁안을 만드는 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각오도 이전과는 다르다. 그동안 말만 무성하고 별 성과가 없었던 공천개혁을 이번에는 반드시 이뤄내길 기대한다.

공천개혁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새삼 언급할 필요조차 없다. 심각한 정치불신에서부터 고비용 저효율 정치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정치의 많은 부정적 측면이 부적절한 공천과 연관돼 있다. 특히 내년은 총선과 대선을 연이어 치르는 해여서 지금 공천제도를 제대로 손보지 않으면 온갖 잘못된 행태가 나타날 수 있다. 한나라당과 민주당도 이런 현실을 잘 알기에 나름대로 공천개혁에 힘을 싣고 있을 터이다. 두 당이 얼마나 철저하게 개혁을 하느냐에 따라 선거 결과도 상당부분 달라질 수 있다.

두 당의 공천개혁 추진기구가 마련한 안을 보면 비슷한 내용이 적잖다. 상향식 공천 원칙, 예비후보자에 대한 자격심사 강화, 국민참여 확대 등이 그것이다. 당 지도부의 입김을 크게 줄이고 엄격한 심사를 거쳐 3명 이내(한나라당) 또는 2~4명(민주당)의 후보로 압축한 뒤 국민참여 경선을 통해 후보를 확정하겠다는 것이다. 민주당은 지도부의 공천권을 전면 배제한다는 방침까지 세웠다. 여야가 같은 날에 경선을 치르는 방안도 추진되고 있다. 이런 내용들이 제대로만 시행된다면 그동안 큰 문제점이었던 비리 전력자나 철새 정치인 공천, 돈 공천, 계파 사이 나눠먹기 공천 등이 많은 부분 걸러질 것이다.

하지만 이런 구상은 최종 확정되기까지 당 안에서 우여곡절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 무엇보다 지도부가 기득권을 쉽게 포기하려 할지 의문이다. 네거티브 공세가 판을 친다는 등의 이유로 국민참여 경선에 소극적인 이들도 적잖다. 특정 대선 후보에게 줄을 선 사람들이 대선 승리를 앞세우며 공천개혁 자체를 방해할 수도 있다. 두 당은 공천개혁을 이뤄내지 못하면 공멸한다는 각오로 배수진을 치고 어려움을 극복해야 할 것이다. 야당 등이 추구하는 야권연대 또한 공천개혁 없이는 성사되기 어렵다.

국민은 기존의 정치와 정치인들에게 식상한 지 오래다. 국민의 정치참여를 활성화하고 정책대결 위주의 정치풍토를 만들어가려면 공천개혁이 반드시 필요하다. 한나라·민주 두 당은 이번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할 마지막 기회라고 생각하고 공천개혁에 임하길 바란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