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장수만씨 ‘권력형 비리’ 의혹 철저히 밝혀야 |
장수만 전 방위사업청장이 대우건설 고위관계자로부터 거액의 백화점 상품권을 받은 혐의가 포착됐다. 검찰은 어제 대우건설 본사를 압수수색한 데 이어 조만간 장 전 청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할 예정이라고 한다. 그는 사건의 파장이 커지자 방위청장직을 사퇴했으나 이것으로 끝낼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검찰은 철저히 수사해 비리의 전모를 한점 의혹 없이 밝혀내야 한다.
장 전 청장이 대우건설로부터 백화점 상품권을 받은 것이 주목되는 까닭은 국방부가 지난해 4월 발주한 대형사업을 따낸 회사가 바로 대우건설이기 때문이다. 특전사령부와 제3공수여단사령부를 이전하는 이 공사는 지난해 정부가 발주한 공공건설 공사 중 최대규모였다. 대형사업을 따내는 과정에서 대우건설과 당시 국방부 차관이던 장씨 사이에 금품이 오가지 않았는가 하는 의혹이 이는 게 당연하다. 수사 결과를 지켜봐야 하겠지만 지금까지 드러난 정황만으로도 권력형 비리의 냄새가 물씬 풍긴다.
장 전 청장은 이명박 대통령의 최측근 인사로 꼽힌다. 국방부 차관 시절 ‘장관 위의 차관’ ‘왕차관’이라고 불릴 정도로 실세 중의 실세였다. 대통령의 후광을 등에 업은 안하무인의 태도와 저돌적인 업무 스타일 탓에 잡음도 끊이지 않았다. 그가 가장 소리 높여 부르짖은 것은 과감한 국방개혁이었다. 하지만 지금 드러나는 사실을 보면 겉으로는 군의 변화를 외치면서 뒤로는 검은돈을 챙겼다는 이야기가 된다. 참으로 파렴치하기 짝이 없는 노릇이다. 검찰이 수사 과정에서 그를 대통령의 측근이라고 해서 봐주거나 배려하는 따위의 일은 결코 없어야 할 것이다.
최근 들어 이 대통령 측근 인사들의 비리 혐의가 잇따르는 것은 통탄할 일이다. 최영 강원랜드 사장이 에스에이치공사 사장 시절 함바집 브로커 유상봉씨한테 건설공사 현장의 식당 운영권을 넘겨주는 대가로 6000만원을 받은 혐의가 드러나 구속됐다. 배건기 전 청와대 민정수석실 감찰팀장도 유씨로부터 5000여만원의 금품을 수수한 혐의로 검찰의 조사를 받고 있다. 이 대통령이 ‘공정사회’를 소리 높이 외치고 있는 뒤편에서 일부 측근들은 검은돈 챙기기에 바빴던 셈이다. 이들 말고도 겉으로 드러나지 않은 측근들의 비리는 훨씬 심각할 수 있다. 대통령 측근들의 부정비리를 뿌리뽑지 않고서는 공정사회 구호는 공염불일 뿐이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