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4·27 재보선, 야권 각 주체들의 결단이 요구된다 |
민주당, 민주노동당, 진보신당, 국민참여당과 시민사회 지도자들이 오는 4월27일 재보궐선거를 연합하여 치르기로 어제 합의했다고 한다. 범야권과 시민사회 진영은 지난해 ‘5+4 선거연합’을 통해 지방선거 승리를 일궈낸 바 있다. 야권이 이번에도 후보 단일화에 성공할 경우 4·27 재보선은 물론이고 내년 총선·대선에 미치는 영향도 적지 않을 것이다.
지금 범야권 선거연합이 요구되는 것은 무엇보다 이명박 정부의 오만과 독선, 부실한 국정운영에 대한 견제 때문이다. 정부여당은 지난해 정기국회 때 예산안·법률안 날치기로 의회민주주의를 완벽하게 유린했다. 최근에는 구제역, 전셋값 급등, 물가고 등 민생대란이 날로 확산되고 있다. 이런 그릇된 국정 방향을 심판하고 바로잡는 데 재보선만큼 좋은 계기는 없는 것이다.
물론 야권연대 협상이 쉽지는 않을 것이다. 지난해 6·2 지방선거 때는 광역자치단체장에서 기초의원까지 선거 종류가 다양해 정당 사이에 주고받을 여지가 많았다. 이번에는 경기 분당을, 경남 김해을, 전남 순천 등 국회의원 세 곳과 강원도지사 한 곳이 중심이다. 각 정당이 ‘내 몫은 반드시 챙기겠다’며 끝내 다투기 쉬운 구조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고향인 김해을 지역을 두고 민주당과 국민참여당으로 나뉜 ‘친노 세력’이 기세싸움을 벌이는 것도 예사롭지 않다.
사정이 이럴수록 각 주체들은 눈앞의 이익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언제든 희생의 결단을 하겠다는 자세를 갖춰야 한다. 자신의 정당 기반을 넓혀보겠다는 계산만 앞세워선 모두가 잃기 쉽다. 대신 각 주체들은 이번 선거 전체를 범야권의 승리로 이끄는 데 기여하고, 그것에 따라 평가받겠다는 각오를 다지기 바란다. 각 당 지도부는 때로 소속 당원들한테 비난받을 각오도 해야 한다. 당연히 제1야당인 민주당은 좀더 능동적인 자세로 결단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소수 야당들도 능력을 벗어나는 요구만 앞세우다가 명분을 잃지 말기 바란다.
범야권의 선거연합은 각 주체들의 견해차 때문에 일단 이번 재보선에 국한하기로 했다고 한다. 하지만 민주주의 회복과 민생 안정, 한반도 평화를 위해 2012년 총선과 대선이 더 중요하다. 4·27 야권연대가 총선·대선 연대의 출발점이 되도록 발전시켜 나가는 계기가 돼야 한다는 의지를 다져야 할 것이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