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2.23 20:31 수정 : 2011.02.23 20:31

리비아에서 대규모 유혈사태가 벌어지고 있다. 무아마르 카다피 정권은 시위대에 공군기를 동원한 공습까지 퍼붓고 있다고 한다. 정부와 시위대 사이의 충돌 수준을 넘어 본격적인 내전으로 번질 가능성마저 우려되고 있다.

카다피는 “영원한 혁명 지도자로 남겠다” “물러날 이유가 없으며 순교자로 죽겠다”며 초강경 입장을 밝힌 상태다. 자신의 지지자들에게 거리로 나와 시위대를 공격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다. 국민들에 대해 선전포고를 한 셈이다. 실제로 친정부 민병대는 카다피의 이 국영방송 연설을 전후해 시위대에 대한 공격을 강화했다고 한다. 카다피의 행태는 비록 그동안 철권 독재를 했다고 하나 42년간 나라를 이끈 국가지도자로선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이런 소름 끼치는 광기를 그냥 둔다면 끔찍한 대량살육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이를 막기 위해 다양한 수단을 신속히 강구해야 한다.

리비아에는 국민을 결집시킬 야당이나 시민사회단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군부조차도 반란을 일으킬까봐 카다피가 약체로 유지해왔다. 대신 카다피의 직계 민병대가 강력한 무장력을 갖고 있다고 한다. 리비아 사회 내부에서 사태를 평화적으로 풀어나갈 역량이 여러모로 미약한 셈이다. 게다가 카다피 정부가 무너진다 하더라도, 카다피를 지지하는 부족과 반대하는 부족 사이의 내전으로 번질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결국 국제사회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대량살육 사태를 막는 게 중요하다. 카다피 정권에서 이탈한 유엔 주재 리비아 대사는 이와 관련해 리비아 상공에 비행금지구역을 설정할 것을 요구했다. 공군기를 이용한 시위대 학살을 막기 위해서다. 과거 이라크가 쿠르드 지역을 공격하지 못하도록 같은 방법을 쓴 전례도 있다. 이밖에 각국 기업들의 현지 석유개발 작업 중단, 리비아에 대한 경제제재 등이 제안되고 있다.

유엔 안보리는 그제 리비아 정부를 규탄하는 언론발표문을 의결했다. 하지만 폭력적 시위진압의 중단 등을 말로 요구할 뿐 이를 강제할 실질적인 조처는 언급되지 않았다. 이렇게 해선 참극을 막기 어렵다. 실효성 있는 후속 논의가 신속히 이뤄질 것을 기대한다. 우리 정부도 리비아 대량살육을 막기 위한 국제활동에 최대한 협력해야 한다. 현지 교민과 주재원의 안전대책에도 허점이 없어야 함은 물론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