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2.25 20:18 수정 : 2011.02.25 20:18

요즘 대학생들은 힘겹다. 부모가 넉넉해 등록금과 용돈을 척척 대주는 집 아이들은 몰라도 그렇지 못한 대다수 학생들은 학교 다니기가 무섭다. 특히 통학이 불가능한 외지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의 처지는 비참하다. 해마다 올라가는 등록금 대기도 벅찬데, 방값이나 하숙비까지 막무가내로 오르기 때문이다.

최근 전세난과 물가상승의 여파로 수도권 대학가 하숙비나 집세가 평균 20%가량 올랐다. 수도권의 전세난이 가중되면서 대학가에서 방 구하기가 전쟁에 가깝다고 한다. 전세는 구하기도 어렵지만 구한다고 해도 수천만원씩 올랐고, 월세도 학생들이 감당하기 어려운 수준이 됐다. 그러다 보니 학생들은 학교에서 거리가 먼 지역의 쪽방이나 반지하로 밀려나고 있다고 한다.

하숙 역시 마찬가지 상황이다. 대학가가 밀집한 신촌 일대 하숙비가 이번 학기 들어 평균 월 10만원씩 올랐다. 일부 하숙집에서는 1년 단위 계약을 요구하고 중간에 나가려고 하면 남은 돈을 제대로 돌려주지 않는 경우까지 있다고 한다. 오죽하면 대학 학생회들이 나서서 학생들의 피해사례나 하숙집 주인들의 짬짜미를 조사해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소하겠다고 하겠는가?

하숙집 주인들로서도 할 말이 없지는 않을 것이다. 그중에는 하숙을 여럿 쳐서 형편이 나은 집도 있겠지만, 대다수 하숙집은 영세하다. 식료품비나 광열비 등 각종 물가가 다락같이 올라가는 상황에서 하숙비를 올리지 않고 배기기는 어려운 형편일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가격 담합을 하고 일반적인 거래 관행을 넘어서는 연간계약을 요구하거나 선불금을 돌려주지 않는 따위의 일을 해서는 안 될 것이다.

따지고 보면 결국 문제는 형편없이 부족한 기숙사다. 현재 대학 기숙사는 희망 학생의 10~20% 정도만 수용할 수 있는 규모라고 한다. 이 비율을 적어도 30~40% 수준까지 올려야 한다. 필요하다면 정부가 지원방안을 마련해 대학들이 시설 확충에 나서도록 해야 한다.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학생들을 위한 공공임대주택을 늘리는 것도 좋은 방안이다. 최근 한국토지주택공사는 기초생활수급자나 한 부모 가구 출신을 대상으로 대학생 보금자리주택을 공급해 큰 호응을 받았다. 우리 사회의 미래를 짊어질 학생들이 최소한 먹고 자는 것은 걱정하지 않고 공부할 수 있게 하는 게 정부의 책무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