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설] 정종환 장관, ‘전세대책 사령탑’ 자격 있나 |
부동산 투기 의혹을 받았던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이 다시 거액의 전세 논란에 휩싸였다. 실거주 목적이란 약속을 어긴데다 전세대란의 와중에서 투기 의혹 아파트를 5억원에 전세 놨기 때문이다. 연리 4%의 금리로 계산하면 170만원씩 월세를 받는 꼴이니 전셋집을 전전하는 서민 처지에선 화가 치미는 일이다.
정 장관은 청문회 때 부인 명의 충남 서천군 땅 2000평에 대해 “퇴직을 앞두고 시골에 내려가 살려고 구입했다”고 말했다. 그래 놓고 서울 회현동의 195㎡(59평형) 주상복합 아파트를 13억3000만원에 분양받은 이유에 대해선 “현재 살고 있는 (경기 산본) 아파트를 처분해 도심에 들어와 살겠다”며 투기가 아니라 실거주 목적이라고 했다. 앞뒤가 안 맞는 해명이다.
그는 또한 회현동 아파트가 완공되자 들어가 살겠다는 청문회 때 약속을 어기고 지난해 11월 5억원에 전세를 놨다. 지금 아파트가 정부과천청사에 가까워 이사를 안 갔다는 설명이다. 전세 그 자체만 보면 있을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청문회 이후 정 장관의 행적을 전체적으로 돌아보면 모순투성이다. “시골 내려가 살겠다”고 했다가 “도심에 들어와 살겠다”고 말을 바꿨고, “회현동 아파트에 실제 거주하겠다”고 했다가 “출퇴근이 편해 산본 아파트에 산다”고 말했다. 이렇게 멋대로 말을 바꾸는 장관을 어떻게 신뢰할 수 있겠는가. 국민은 안중에 없고 그때그때 위기만 모면하려는 태도로 보일 수밖에 없다.
그의 부동산 투기 의혹은 아직 말끔히 해소되지 않은 상태다. 청문회 때 신고한 재산 내역은 7억8000만원이었다. 그럼에도 그는 13억3000만원짜리 아파트를 분양받았다. 아파트가 완공된 뒤엔 살던 집을 팔지 않고 전세를 줬다. 8억3000만원의 차액을 어떻게 조달했는지 의문이다. 게다가 자식들이 보유한 아파트들도 정 장관이 마련해준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이 남아 있는 상태다.
정 장관은 지난해 9월 말 치솟는 전셋값에 대해 “심각한 수준이 아니다”라며 관심조차 두지 않았다. 그러나 정작 자신은 당시 전셋값 상승을 틈타 5억원이란 거액의 전세금을 챙겼다. 투기 의혹에 대해 앞뒤가 안 맞는 해명으로 일관하고, 약속을 손바닥 뒤집듯 어기고, 전셋값 상승으로 자기 주머니를 채우는 장관이 전세대란을 해결하려는 의지나 갖고 있을지 궁금하다.
기사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