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메뉴 바로가기

본문

광고

광고

기사본문

등록 : 2011.03.09 20:03 수정 : 2011.03.09 20:03

구제역이 발생한 지 어제로 100일이 지났다. 대규모 살처분과 백신접종으로 구제역 발병은 잦아들고 있지만 그동안의 손실은 엄청났다. 소 16만마리, 돼지 330만마리 등 346만마리의 가축이 살처분됐고, 전국 곳곳이 가축들의 무덤으로 변해버렸다. 경제적 피해도 살처분 보상비 1조8000억원 등 3조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맞춰 축산 전문가 등 교수·지식인 200명은 어제 축산정책과 구제역 대책의 근본적인 전환을 촉구하는 호소문을 발표했다. 생지옥과 다름없는 밀집사육을 중지하고, 살처분을 중심으로 한 구제역 대책을 포기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살처분은 자연면역력을 갖춘 건강한 가축까지 모두 없애버리는 결과를 초래한다는 이유를 들어 시급히 대안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살처분 방식의 구제역 대책을 완전히 포기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살처분 과정에서 무수히 많은 문제가 드러난 것은 사실이다. 무엇보다 대규모 살처분은 비인도적이고 야만적이다. 특히 살아있는 돼지를 매장하는 것은 아무리 동물이라 할지라도 해서는 안 될 일이다. 돼지를 생매장하는 동영상이 국제적으로 퍼져나가면서 나라의 위신도 추락한 실정이다.

기존 대책의 효율성도 잘 따져봐야 한다. 이동제한 조처를 취했지만 철저한 방역체계를 갖춘 축산과학원도 구제역을 막지 못했다. 백신도 변종 바이러스 때문에 효율적이지 못했다. 대규모 살처분은 침출수로 인한 2차 환경오염을 빚고 있다. 따라서 밀집사육을 없애고 면역력을 약화시키는 항생제와 성장호르몬 사용을 억제하는 친환경 축산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은 충분히 귀기울일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645만마리의 가축을 살처분한 뒤 축산정책을 크게 바꾼 영국이 대표적인 사례다.

정부도 밀집사육 억제와 축산업 허가제 등 다각적인 후속 대책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살처분 방식에 대해서는 진지한 검토가 부족한 것 같다. 정부는 침출수 문제를 고려해 매몰 방식이 아닌 소각이나 멸균처리법으로 전환하는 데만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수백만마리의 가축을 소각이나 멸균 방식으로 효과적으로 처리하기는 쉽지 않다. 이보다는 살처분 자체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정부가 새로 마련하는 구제역 종합대책은 국내 축산업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계기가 돼야 한다.

광고

브랜드 링크

멀티미디어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광고


한겨레 소개 및 약관